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3509(Print)
ISSN : 2384-1168(Onlin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45 No.2 pp.165-170
DOI : https://doi.org/10.17946/JRST.2022.45.2.165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Based on Dose of Laser Transmission

Bon-Yeoul Koo1), Ji-Won Kim2)
1)Department of Radiology, Vision College of Jeonju
2)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Jeon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Ji-Won Kim,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Jeonju University, 303 Cheonjam-ro, Wansan-gu, Jeonju city,
55069, Republic of Korea / Tel: +82-43-284-1583 / E-mail: nicemidari@naver.com
22/02/2022 10/03/2022 28/03/2022

Abstract


Staphylococcus aureus is a major pathogen that causes clinical infections in humans and can also cause massively colonized in lesion skin, particularly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otodynamic inactivation with radachlorin and diode laser irradiation on the viability of S. aureus in vitro and assessed the effects of the dose of laser transmission. In the PDI group, 5 μL of S. aureus suspension and 5 μL of radachlorin were inoculated in a 55 mm petri dish (63.6 cm2). The samples were placed in a 37° incubator for 30 min and then irradiated with light (660 nm diode laser). After laser irradiation, the cells were stored for 24 h at 37° in an incubator with 5% CO2, and the number of colonies was counted. All CFU/mL of S. aureus were reduced by diode laser in the presence of radachlorin, with a killing rate of 87.9% at an energy dose of 9 J/cm2. This study contribute to treat colonized with S. aureus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and wound infec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ptimal dose of laser transmission using PDI to eliminate S. aureus.



레이저 투과 선량에 따른 황색포도상구균의 광역학적 비활성화

구 본열1), 김 지원2)
1)전주비전대학교 방사선학과
2)전주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Ⅰ. 서 론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은 사람에게 임상 감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병원균으로[1], 특히 수술이나 상처 후 국소 감염을 일으키고 아토피 피부염을 갖은 환자의 피부에 대량으로 집락화 할 수 있다[2-4]. 또 한, 이 병원균은 농가진(impetigo) 및 봉와직염(cellulitis) 과 같은 피부 연조직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 부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1,5].

    S. aureus과 같은 병원성 박테리아에 감염된 환자의 가 장 일반적인 치료법은 항생제의 사용이다[6]. 그러나 항생 제에 대한 내성 균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기존 약물 사용이 어려워지고 있다[7]. 특정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방 법으로 국소 소독제가 있지만, 이 방법은 새로운 육아 조직 에 독소가 발생할 수 있어[8,9], S. aureus에 감염된 상처 부위의 치료로는 제한적이다.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에 의한 상처 감염을 치료 하는 다른 방법으로 광역학적 비활성화 요법 (photodynamic inactivation, PDI)이 있다. 이 방법은 특정 파장의 빛과 이 빛에 활성화되는 물질인 광과민제, 세포 내 산소를 이용하 는 방법이다. 이 원리는 광과민제와 결합한 기저 상태의 세 포가 특정 파장의 빛으로 활성화되면 단일항(singlet) 또는 삼중항 상태 (triplet state)인 더 높은 에너지 상태로 이동 한다. 이후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가 발생하여 세 포가 파괴되고 미생물의 DNA와 원형질막이 손상된다[10-13].

    본 연구에서는 광역학 비활성화 요법을 위해 660 nm 다 이오드 레이저와 광과민제로 수용성 클로로필의 유도체인 라다클로린(radachlorin)을 사용하였다. 이는 주로 염화나 트륨 e6 (sodium chlorin e6)으로 어두운 곳에서는 독성이 낮지만, 특정 파장의 빛에서는 높은 광독성을 나타내고 체 내에서 빠르게 배설된다는 장점이 있다[14,15].

    여러 연구에서 S. aureus에 대해 다양한 빛과 광과민제 를 이용한 PDI의 항균 효과가 입증되었다[5,6,9]. 그러나 660 nm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S. aureus를 제거하 기 위한 적절한 레이저 투과 선량을 입증한 보고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 aureus에 감염된 상처 부위를 치 료하기 위해 라다클로린 존재하에 660 nm 다이오드 레이저 의 적절한 투과 선량을 평가하는 것이다.

    Ⅱ. 실험 재료 및 방법

    1. 세균배양

    본 연구에 이용된 표준 균주 S. aureus (ATCC 29213)는 대전에 있는 D대학교에서 제공 받았다. 이 균주는 50% Brain Heart Infusion(BHI) Broth에 접종하여 냉동고에 보관 후 혈액한천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그 후 온도 37°의 5% CO2가 있는 곳에서 24시간 동안 성장시켜 사용 하였다.

    2. 광과민제 및 광원

    광과민제 라다클로린(RADA-PHARMA Co. Ltd., 모스 코바, 러시아) 0.1%은 Dulbecco의 인산염 완충 식염수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에서 1,000 μ g/mL로 희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광원은 660 nm 다이오드 레이저 시스 템으로 세부 사양은 Table 1에 있다. S. aureus가 들어 있 는 페트리접시(Petri dish) 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조사했고, 조사선량과 조사 시간에 대한 정보는 Table 2에 있다.

    3. 실험 방법

    현탁액에 멸균 탈이온 수(sterile deionized water)를 첨 가하여 박테리아를 약 1.5 × 105 cells/mL의 탁도로 조정 했다.

    라다클로린 존재하에 레이저 조사의 광학적 비활성화를 증명하기 위해 세균 단독 군, 레이저 단독 조사 군, 라다클 로린 단독 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Table 2). 세균 단 독 군과 레이저 단독 조사 군에서는 55 mm 페트리 접시 (23.7 cm2)에 세균 현탁액 5 μL 와 멸균 식염수 5 μL를 접종하였다. 라다클로린 단독 군은 55 mm 페트리 접시 (23.7 cm2)에 세균 현탁액 5 μL와 라다클로린 5 μL를 접종하였다. 세균 단독 군과 라다클로린 단독 군에서는 37°인큐베이터(Vision Scientific Co., Ltd., 대전, 대한민 국)에서 24시간 보관 후 집락 수(CFU/mL)를 세었고, 레이 저 단독 조사 군에서는 시료를 37°인큐베이터에 30분간 보 관 후에 레이저를 9 J/cm2의 선량으로 조사하였다(Fig. 1).

    광역학적 비활성화를 보고자 하는 PDI 군은 55 mm 페트 리 접시(23.7 cm2)에 세균 현탁액 5 μL와 라다클로린 5 μ L를 접종하여 37°인큐베이터에 30분간 보관 후에 빛을 조 사하였다(Fig. 1). 레이저 선량에 따는 효과를 보기 위해 3, 5, 7, 9 J/cm2로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레이저 조사 후 세포 를 37°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고 집락 수 (CFU/mL)를 세었다. 모든 실험은 6회 반복되었다.

    4. 통계 분석

    데이터는 SPSS Statistics 소프트웨어(Version 25.0)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레이저 선량에 따른 집락 수(CFU/mL) 는 일원 분산 분석(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 다. 또한, 사후 검정으로 Tukey HSD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test 방법을 사용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결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P<0.05).

    Ⅲ. 결 과

    1. 광역학 비활성화 후 집락 수(CFU/mL) 분석

    본 연구 결과는 S. aureus의 모든 집락 수(CFU/mL)가 라다클로린이 있는 상태에서 다이오드 레이저 조사에 의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Fig. 2). 그러나 사멸 정도는 레 이저 선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Fig. 3에 나타난 바와 같 이, S. aureus의 집락 수(CFU/mL)는 레이저 에너지 선량 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레이저 선량 9 J/cm2 에서 87.91%의 사멸률이 나타났다(Table 3). 일원 분산 분 석은 각 PDI에 대해 상당한 억제(F=375.261, P<0.05)를 보 여주었으며 사후 분석에서는 각 그룹에서 3, 5, 7, 9 J/cm2 의 레이저 에너지 선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레이저 단독 조사와 라다클로린 단독 투여 시 집락 수(CFU/mL) 분석

    Table 3에서 보듯이 라다클로린 없이 레이저만 조사한 그룹과 대조군 그룹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 레 이저 조사만으로는 살균 효과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레이저 조사 없이 라다클로린만 투여한 군도 대조군과 차이 가 없어 라다클로린의 독성을 관찰하지 못하였다(P >0.05).

    Ⅳ. 고 찰

    본 연구에서 라다클로린과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PDI가 S. aureu의 생존율을 줄이는데 상당히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9 J/cm2의 에너지 선량 에서 87.9%의 사멸률을 확인했다.

    많은 연구에서 다양한 광원과 광과민제를 사용하여 S. aureus에 대한 PDI의 효과를 조사하였다[16-19]. Fekrazad 등은 라다클로린과 662 nm 다이오드 레이저 (12 J/cm2)를 이용하여 S. aureus의 집락 수가 6.28 log10으로 감소했음을 입증했다[19]. 또한, Thakuri 등은 리보플라빈 (riboflavin) 존재하에 청색 LED를 120분 동안 조사한 경 우 S. aureus의 성장이 크게 감소했음을 관찰하였다[17]. Topalogluet 등은 인도시아닌이(indocyanine) 있는 상태에 서 809 nm 다이오드 레이저를 84 J/cm2로 조사했을 때 야 생형 S. aureus의 95% 이상이 감소했다고 보고했다[6]. Hsieh 등은 5-아미노레블린산(5-aminolevulinic acid, ALA) 1.0 Mm과 630 ± 5 nm LED (90 min, 162 J/cm2) 조사가 S. aureus의 생존 수를 완전히 감소시켰다[16]. 그 러나 본 연구에서 라다클로린이 있는 상태에서 660 nm 다 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S. aureus의 PDI는 3 J/cm2에서 45.5%, 5 J/cm2에서 61.2%, 7 J/cm2에서 74.3%, 9 J/cm2 에서 87.9%의 사멸률을 보여주었다. 이는 이전 연구와 비교 하여 S. aureus에 대한 항균 효과는 9 J/cm2의 비교적 낮은 선량과 1,067 s의 낮은 레이저 조사 시간으로 87% 이상의 항균효과를 관찰하였다.

    낮은 수준의 광선 요법은 미생물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20,21]. 여러 연구에서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가 서로 다른 강도와 빛의 파장에 의해 사멸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9,22].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광과민제 없이 660 nm 다이 오드 레이저 단독 조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S. aureus의 집락 수를 감소시키지 않았다. 이는 660 nm 다이오드 레이 저 조사만으로는 S. aureus에 세포 독성 효과가 없다는 것 을 입증하였다. 이 결과는 Moslemi 등의 연구와 일치한다. 이들은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가 최대 출력 2.5 W의 662 nm 레이저의 6 J/cm2의 선량으로 조사 되었을 때 항균효과가 없음을 보여주었다[13].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감광제 없이 662 nm 레이저 조사 (6 J/cm2)가 Pseudomonas gingivalis의 집락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관 찰했다[23]. 또한, Vahabi 등은 660 nm 다이오드 레이저 3 J/cm2의 단독 조사로도 Streptococcus mutans 수가 예상 보다 많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했다[14]. 이처럼 레이저 빛 의 항균 효과는 미생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 다[23]. 따라서 인간 세포와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에서 다 이오드 레이저 조사가 독성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많은 연 구가 필요하다.

    현재 광역학적 비활성화 요법은 암(cancers) 및 피부 사 상균(dermatophytes) 치료에 적용하여 연구되고 있다 [24-28]. Cornelius 등은 5-아미노레불린산을 이용한 광 역학 요법으로 인간 수막종 세포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고 [24], Morton 등은 저용량 클로트리마졸을 이용하여 피부 사상균인 Trichophyton rubrum의 사멸의 광역학 효과를 입증하였다[26]. 이 치료법은 비용이 적게 들고 재현 가능하 며 숙주 조직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어[13,19,29], 상처 감 염 치료를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이오드 레이저와 라다클로린을 이용한 광역 학 요법은 S. aureus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 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in vitro 분석에 국한되어 있어 추가적인 in vivo 실험이 필요하다.

    Ⅴ. 결 론

    위의 결론들을 종합하였을 때, 라다클로린과 660 nm 다 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광역학 요법은 S. aureus의 집락 수를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또한, 레이저 선량이 증가할수록 S. aureus의 성장이 억제되었고, 9 J/cm2의 선 량으로도 87.9%의 사멸률을 관찰하였다. 이는 아토피 피부 염 및 상처 감염 환자에서 S. aureus에 감염된 부위의 집락 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입 증하였다.

    Figure

    JRST-45-2-165_F1.gif

    Experimental setup showing the method for laser light irradiation.

    JRST-45-2-165_F2.gif

    Experimental evidence for the reduction in S. aureus viability after photodynamic inactivation. (a): T1-PDI 3 J/cm2, (b): T3-PDI 5 J/cm2, (c): T5-PDI 7 J/cm2, (d): T7-PDI 9 J/cm2).

    JRST-45-2-165_F3.gif

    Mean number of viable S. aureus colonies after photodynamic inactivation. (T1: PDI 3 J/cm2, T3: PDI 5 J/cm2, T5: PDI 7 J/cm2, T7: PDI 9 J/cm2).

    Table

    Device information

    Study design conditions for analysis of energy dose, irradiation time

    Mean value CFU]/mL of S. aureus in each group

    Reference

    1. Tong SY, Davis JS, Eichenberger E, Holland TL, Fowler VG.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anagement. Clin Microbiol Rev. 2015;28(3):603-61.
    2. Ogonowska P, Gilaberte Y, Baranska-Rybak W, Nakonieczna J. Colonization With Staphylococcus aureus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Attempts to Reveal the Unknown. Front Microbiol. 2020;11: 567090.
    3. Kurlenda J, Grinholc M, Jasek K, Wegrzyn G. RAPD typ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 7-year experience in a Polish hospital. Medical Science Monitor. 2007;13(6):MT13-8.
    4. Smeltzer MS, Gillaspy AF. Molecular pathogenesis of staphylcoccal osteomyelitis. Poult Sci. 2000; 79(7):1042-9.
    5. Fekrazad R, Zare H, Vand SM. Photodynamic therapy effect on cell growth inhibition induced by Radachlorin and toluidine blue O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An in vitro study. Photodiagnosis Photodyn Ther. 2016;15:213-7.
    6. Topaloglu N, Gulsoy M, Yuksel S.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of resistant bacterial strains by indocyanine green and 809-nm diode laser. Photomed Laser Surg. 2013;31(4):155-62.
    7. Omar GS, Wilson M, Nair SP. Lethal photosensitization of wound-associated microbes using indocyanine green and near-infrared light. BMC Microbiol. 2008;8:111.
    8. Smith AJ, Daniels T, Bohnen JM. Soft tissue infections and the diabetic foot.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1996;172(6):7s-12s.
    9. Nussbaum EL, Lilge L, Mazzulli T. Effects of 630-, 660-, 810-, and 905-nm laser irradiation delivering radiant exposure of 1-50 J/cm2 on three species of bacteria in vitro. J Clin Laser Med Surg. 2002; 20(6):325-33.
    10. Dai T, Huang YY, Hamblin MR. Photodynamic therapy for localized infections--state of the art. Photodiagnosis Photodyn Ther. 2009;6(3-4):170-88.
    11. Akilov OE, Kosaka S, O'Riordan K, Song X, Sherwood M, Flotte TJ, et al. The role of photosensitizer molecular charge and structure on the efficacy of photodynamic therapy against Leishmania parasites. Chem Biol. 2006;13(8):839-47.
    12. Hamblin MR, Hasan T. Photodynamic therapy: A new antimicrobial approach to infectious disease? Photochem Photobiol Sci. 2004;3(5):436-50.
    13. Moslemi N, Soleiman-Zadeh Azar P, Bahador A, Rouzmeh N, Chiniforush N, Paknejad M, et al. Inactivation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by two different modalities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Toluidine blue O or Radachlorin as photosensitizers: An in vitro study. Lasers Med Sci. 2015;30(1):89-94.
    14. Vahabi S, Fekrazad R, Ayremlou S, Taheri S, Zangeneh N. The effect of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with radachlorin and toluidine blue on streptococcus mutans: An in vitro study. J Dent (Tehran). 2011;8(2):48-54.
    15. Privalov VA, Lappa AV, Seliverstov OV, Faizrakhmanov AB, Yarovoy NN, Kochneva EV, et al. eds. Clinical trials of a new chlorin photosensitizer for photodynamic therapy of malignant tumors. Optical Methods for Tumor Treatment and Detection: Mechanisms and Techniques in Photodynamic Therapy XI. SPIE; 2002.
    16. Hsieh CM, Huang YH, Chen CP, Hsieh BC, Tsai T. 5-Aminolevulinic acid induced photodynamic inactivation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J Food Drug Anal. 2014; 22(3):350-5.
    17. Thakuri PS, Joshi R, Basnet S, Pandey S, Taujale SD, Mishra N. Antibacterial photodynamic therapy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in-vitro. Nepal Med Coll J. 2011;13(4): 281-4.
    18. Usacheva MN, Teichert MC, Biel MA. Comparison of the methylene blue and toluidine blue photobactericidal efficacy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microorganisms. Lasers Surg Med. 2001;29(2):165-73.
    19. Fekrazad R, Zare H, Mohammadi Sepahvand S, Morsali P. The effect of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with radachlorin(R)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An in vitro study. J Lasers Med Sci. 2014;5(2):82-5.
    20. Guffey JS, Payne W, Greenway J, Buchanan B, Collum J. Inhibition of Acinetobacter baumannii in vitro by low level light therapy at 625-nanometers. Int J Adv Tech Sci. 2014;1:51-9.
    21. Guffey JS, Payne W, Roegge W. In vitro fungicidal effects of methylene blue at 625-nm. Mycoses. 2017;60(11):723-7.
    22. Hamblin MR, Demidova TN. eds. Mechanisms of low level light therapy. Mechanisms for low-light therapy.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2006.
    23. Moslemi N, Rouzmeh N, Shakerinia F, Bahador A.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utilizing radachlorin and toluidine blue O as photosensitizers: An in vitro study. J Lasers Med Sci. 2018;9(2):107-12.
    24. Cornelius JF, Slotty PJ, El Khatib M, Giannakis A, Senger B, Steiger HJ. Enhancing the effect of 5-aminolevulinic acid based photodynamic therapy in human meningioma cells. Photodiagnosis Photodyn Ther. 2014;11(1):1-6.
    25. Chen Y, Liu H, Zhang K, Gao L. Massive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following photodynamic therapy for retinal hemangioma in von Hippel-Lindau Syndrome. Photodiagnosis Photodyn Ther. 2014; 11(2):250-3.
    26. Morton CO, Chau M, Stack C. In vitro combination therapy using low dose clotrimazole and photodynamic therapy leads to enhanced killing of the dermatophyte Trichophyton rubrum. BMC Microbiol. 2014;14(1):1-9.
    27. Smijs T, Dame Z, De Haas E, Aans JB, Pavel S, Sterenborg H. Photodynamic and nail penetration enhancing effects of novel multifunctional photosensitizers designed for the treatment of onychomycosis. Photochem Photobiol. 2014; 90(1):189-200.
    28. Lee Y, Baron ED. Photodynamic therapy: Current evidence and applications in dermatology. Semin Cutan Med Surg. 2011;30(4):199-209.
    29. Kim JW, Koo BY. Antimocribial Photodynamic therapy using Diode Laser on Candida albican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21;44(2):1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