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장치(Digital tomosynthesis; DT) 는 X-선원과 검출기가 제한된 스캔 각도에서 움직이며 획 득한 투영상을 통해 3차원 단층영상을 제공하는 의료영상획 득 시스템이다[1-3]. DT는 인체 내 조직 간 중첩을 감소시켜 일반 X-선 촬영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방사선량이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에 비해 매우 적은 장점 있다[4,5]. DT 시 스템 중 고정형 반전구조 DT(Stationary inverse-geometry DT; s-IGDT)는 기존 DT 보다 작은 크기의 검출기 및 배열 형태의 X-선원을 사용하며, X-선원과 검출기가 고정된 상 태에서 투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s-IGDT는 기존 DT 영상 내 발생하는 움직임 의한 아티팩트 를 감소시킬 수 있고, 영상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6]. 또한 s-IGDT는 반전구조를 갖기 때문에 불필요한 영역에 X-선 조사를 방지하여 기존 DT에 비해 방사선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7]. 하지만 s-IGDT는 작은 크 기의 고정형 검출기 사용으로 인하여 피사체의 일부 영역이 투영상에 완전히 포함되지 못할 경우 잘림 현상이 발생하여 3차원 재구성 영상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8,9]. 따라서 s-IGDT를 통해 획득한 영상의 화질 및 임상적 활용 가능성 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하학 적 요소 및 영상 획득 조건을 파악하고, 해당 요소가 s-IGDT 영상 화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s-IGDT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하학적 요소는 X-선원 배열 형태, 스캔 각도, 검출기 크기, 선원-검출기 간 거리, 선원-피사체 간 거리 등이 있다[10,11]. 특히, X- 선원 배열 형태는 피사체에 입사되는 X-선 방향과 각도를 결정하고 투영상이 포함하고 있는 피사체 정보를 변화시키 기 때문에 3차원 재구성 영상 화질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12]. 또한 X-선원 배열 형태에 따라 s-IGDT를 통해 획득 한 투영상에서 발생하는 잘림 현상의 위치 및 규모가 달라 지고, 이에 따라 3차원 재구성 영상 화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s-IGDT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영상 획득 조 건으로는 획득 투영상의 개수, 관전압, 관전류, 재구성 알고 리즘 등이 있다. D. Xia 및 I. Sechopoulos 연구팀은 기존 DT 영상 획득 시 투영상 개수에 따른 3차원 재구성 영상의 화질 및 피폭 방사선량 변화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DT 영상 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획득 투영상 개수의 최적화가 중요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13,14]. 이와 같은 특징은 s-IGDT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잘림 현상이 발생한 투영상의 개수가 많을수록 s-IGDT 3차 원 재구성 영상의 화질이 크게 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가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 였다. 선형, 기울어진 선형 및 기울어진 원형 형태의 3가지 X-선원 배열과 10, 20 및 40장의 투영상 조건을 이용하여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을 획득하였다. 3차원 재구 성 영상의 분해능 평가를 위해 점확산함수(Point spread function; PSF) 및 아티팩트확산함수(Artifact spread function; ASF)의 반치폭(Full-width at half-maximum; FWHM)을 측정하였으며, 잡음 특성 평가를 위해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 및 잡음력스펙트럼 (Noise power spectrum; NPS)을 측정하였다. 또한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 검증을 위해 기존 DT 영상과의 화질 비교를 수행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s-IGDT 및 기존 DT 시스템 모사
본 연구에서는 MATLAB version 9.4(Mathworks Inc., USA)를 사용하여 가상의 s-IGDT 및 기존 DT 시스템을 시뮬 레이션 하였다. s-IGDT 시스템은 투영상 획득을 위해 검출 기는 고정되어있는 반면 X-선원 배열 형태에 따라 X-선이 조사되도록 모사하였다. 기존 DT 시스템은 투영상 획득을 위해 피사체를 중심으로 X-선원과 검출기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모사하였다. 두 시스템의 중심선원-피 사체중심 간 거리(Source-to-object distance; SOD)와 중심 선원-검출기 간 거리(Source-to-detector distance; SDD)는 각각 1207 mm 및 1348.5 mm로 설정하였으며, 300×300 배열 및 0.75×0.75 mm2 화소 크기를 갖는 검출기를 모사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SPIE-AAPM Lung CT challenge dataset을 이용하여 3차원 디지털 흉부 팬텀을 구성하였고, 폐 결절 모사를 위해 오른쪽 폐 내에 지름 10 mm 및 20 mm 크기를 갖는 타원을 삽입하였다[15]. 팬텀 구성을 위해 이용 한 CT 영상은 관전압 120 kVp 및 관전류 331 mA 조건에서 획득하였다. 또한, 팬텀으로부터 획득한 투영상 내에 통계적 잡음을 모사하기 위해 팬텀 복셀값에 평균 0 및 분산 5.0×10-3의 가우시안(Gaussian) 잡음을 추가하였다.
모사한 시스템으로부터 팬텀의 투영상 획득 및 투영상 획 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광선 구동(Ray-driven) 방법을 사용하여 전방 투영(forward-projection)을 수행하 였으며, 획득한 투영상으로부터 3차원 단층 영상을 획득하 기 위해 동시 대수적 재구성 기술(Simultaneous 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 SART)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16]. SART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식은 아래와 같다[17].
여기서 와 는 각각 k 및 k + 1 번째 재구성 반복 시 영상의 j번째 복셀값이다. pj는 j번째 복셀을 통화하는 모든 X-선, aij는 pj에 대한 시스템 행렬의 i번째 요소이다. N 은 재구성 영상의 전체 복셀 개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영상이 180×180×180 배열 및 1×1×1 mm3의 복셀 크기를 갖도록 재구성하였으며, SART 알고리즘을 20번 반복하였다.
2.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
s-IGDT 시스템의 X-선원 배열 형태가 3차원 재구성 영 상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Fig. 1과 같이 선 형, 기울어진 선형 및 기울어진 원형 배열을 적용하였다. 총 3가지 X-선원 배열을 통해 s-IGDT 투영상 획득 시 피사체 에 입사되는 X-선 방향과 각도, 투영상에서 발생하는 잘림 현상의 위치와 규모를 다양하게 모사할 수 있다. 선형 배열 은 X-선 초점이 y 축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있는 형태로, 각 X-선 초점에서 발생하는 중심 X-선이 팬텀의 중심점을 지나며 배열의 길이는 약 600 mm, 스캔 각도는 ±13.96도 로 모사하였다. 기울어진 선형 배열은 선형 배열을 x 축 및 z 축을 중심으로 각각 30도씩 회전시켜 모사하였으며, X- 선 초점은 기울어진 축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모사하였 다. 기울어진 원형 배열은 기울어진 선형 배열 축을 360도 회전시켰을 때 발생하는 원형 궤적 중 지름이 가장 큰 궤적 을 따라 X-선 초점이 배열되도록 모사하였다.
투영상 개수가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에 미치는 영 향을 평가하기 위해 3가지 X-선원 배열 형태를 따라 각각 10, 20 및 40개의 X-선 초점이 위치하도록 하였다. 선형과 기울어진 선형 배열의 경우 X-선 초점 간 간격은 10, 20 및 40개 X-선 초점에 대하여 각각 66.67, 31.58 및 15.39 mm 로 일정하도록 모사하였다. 기울어진 원형 배열의 경우 X- 선 초점 사이 각도는 10, 20 및 40개 X-선 초점에 대하여 각각 40, 18.95 및 9.23도로 일정하도록 모사하였다. X-선 초점 당 1장의 투영상을 획득하여 3가지 X-선원 배열 형태 에 대하여 각각 총 10, 20 및 40장의 투영상을 획득하였다. 또한, 각 X-선 초점에서 발생되는 X-선질은 동일하다고 가 정하였다. s-IGDT 및 기존 DT 시스템을 통한 투영상 획득 조건을 Table 1에 요약하였다.
3. 영상 화질 평가
DT 영상화 기법은 제한된 스캔 각도에서 획득한 투영상 을 이용하여 3차원 단층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재구성 초 점 평면을 제외한 평면에 위치한 구조물이 흐려진 상으로 나타난다[18-21]. 이와 같은 영상 인공물은 재구성 영상의 깊이 분해능을 저하시키며, 영상 획득 조건에 따라 그 정도 가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s-IGDT 시스템의 X-선원 배 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에 따른 3차원 재구성 영상의 깊이 분해능 평가를 위해 식 (2)를 이용한 ASF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z0는 재구성 초점 평면, z는 재구성 초점 외 평면 을 나타내며, μfeatu r e와 μbkg는 각각 특정 물질과 배경에 대 한 복셀 평균값을 나타낸다. ASF 계산을 위해 지름 13 mm 구 모양의 디지털 팬텀을 모사한 후 획득한 재구성 영상을 사용하였고, 재구성 영상 내 구 내부 및 외부에 동일한 크기 의 관심 영역(Region-of-interest; ROI)을 설정하여 특정 물질과 배경에 대한 복셀 평균값 계산하였다. 측정된 ASF 의 FWHM를 계산하여 3차원 재구성 영상의 깊이분해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름 7 mm 구 모양의 디지털 팬텀을 통 해 획득한 재구성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PSF를 측정하였 으며, 3차원 PSF 평균값에 대한 FWHM 계산을 통해 3차원 재구성 영상의 공간분해능을 평가하였다.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의 잡음 특성 평가를 위해 식 (3)과 같이 SNR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μnodule과 σnodule은 각각 3차원 디지털 흉부 팬텀 내에 모사된 지름 20 mm 결절에 대한 평균 복셀값 및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또한,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의 공간 주파수 별 잡음 성분 분포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NPS를 측 정하였다. NPS 측정을 위해 3차원 디지털 흉부 팬텀에 대 한 재구성 영상 중 복셀값의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ROI를 설정하고, 식 (4)를 통하여 공간주파수 별 NPS를 측정하였 다[22].
여기서 I (k, l)과 P 는 각각 ROI에 포함되는 복셀값 및 평 균값, N x와 N y는 각각 x 축 및 y 축 방향으로 ROI에 포함 되는 복셀 개수, dx와 dx는 각각 복셀의 x 축 및 y 축 방향 크기를 나타낸다.
Ⅲ. 결 과
1. 재구성 영상
Fig. 2는 3가지 X-선원 배열 형태 및 다양한 개수의 투 영상을 이용하여 획득한 s-IGDT 및 기존 DT 3차원 재구성 영상을 보여준다. 기존 DT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영상에 서는 잘림 현상에 의한 인공물이 발생하지 않는 반면, s-IGDT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영상에서는 가장자리 주변 불연속적인 밴드 형태의 인공물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 다. 이러한 인공물은 s-IGDT 시스템의 X-선원 배열 형태 에 따라 모양 및 정도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고, 투영상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 다. 특히, 투영상 증가에 따라 잘림 인공물 발생이 감소하는 정도는 선형 및 기울어진 선형 X-선원 배열에 대해서 두드 러짐을 확인하였다.
2. 분해능에 대한 정량적 평가
Table 2와 Fig. 3은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에 따른 s-IGDT 및 기존 DT 시스템에 대한 PSF의 FWHM 측 정 결과를 보여준다. s-IGDT 시스템에 선형 X-선원 배열 을 적용하였을 경우 투영상의 개수가 10장에서 40장으로 증 가함에 따라 FWHM은 8.47 mm에서 8.23 mm로 약 2.83% 감소하였다. 또한, 기울어진 선형 및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을 적용하였을 경우 투영상의 개수가 10장에서 40장으 로 증가함에 따라 FWHM은 각각 3.06 및 2.11%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3가지 X-선원 배열 중 모든 투영상 개 수에 대하여 선형 X-선원 배열에 해당하는 FWHM이 가장 낮으며,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 대비 평균 1.19% FWHM이 낮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기존 DT 시스템은 3가 지 X-선원 배열에 대하여 투영상의 개수가 10장에서 40장 으로 증가함에 따라 FWHM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그 증가 정도는 선형, 기울어진 선형 및 기울어진 원형에 대하 여 각각 0.35, 1.33 및 1.58%로 확인되었다. 기존 DT 시스 템은 s-IGDT 시스템과는 달리 3가지 X-선원 배열 형태 중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을 적용하였을 경우 FWHM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Table 3과 Fig. 4는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가 변화하였을 때 s-IGDT 및 기존 DT 3차원 재구성 영상에 대 한 ASF의 FWHM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s-IGDT 시스템의 FWHM은 3가지 X-선원 배열 형태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감 소하였다. 투영상의 개수가 10장에서 40장으로 증가함에 따 라 선형, 기울어진 선형 및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에 대하여 s-IGDT 재구성 영상의 FWHM은 각각 20.36, 23.66 및 24.68%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3가지 X- 선원 배열 형태 중 선형 및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을 적용한 재구성 영상의 FWHM이 각각 가장 작고 큰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투영상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X-선원 배 열 형태에 따른 FWHM 차이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투 영상의 개수가 10장 및 40장일 때 선형과 기울어진 원형 X- 선원 배열 간의 FWHM의 차이는 각각 6.45 및 0.67%로 확 인되었다. 선형 및 기울어진 선형 X-선원 배열을 적용한 기 존 DT 시스템은 투영상의 개수가 10장에서 40장으로 증가 함에 따라 ASF의 FWHM이 각각 6.52 및 6.37%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을 적용한 기존 DT 시스템의 FWHM은 투영상 10, 20 및 40장에 각각 45.85, 52.81 및 46.08 mm로 측정되었다. 3가지 X-선원 배열 형태 중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을 기존 DT 시스 템에 적용하였을 때 FWHM이 가장 낮음을 확인하였다.
3. 잡음에 대한 정량적 평가
Table 4와 Fig. 5는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에 따른 s-IGDT 및 기존 DT 시스템에 대한 SNR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s-IGDT 및 기존 DT 3차원 재구성 영상의 SNR 은 투영상 개수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투영 상이 10장에서 40장으로 변화하였을 때 선형, 기울어진 선 형 및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을 적용한 s-IGDT 재구 성 영상의 SNR은 각각 6.57, 14.59 및 41.28% 증가하였다. 기존 DT 재구성 영상의 SNR은 투영상 개수 증가에 의해 평 균 25.00% 증가하였다. 3가지 X-선원 배열 형태 중 선형 X-선원 배열을 적용한 s-IGDT 및 기존 DT 재구성 영상의 SNR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 열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s-IGDT 및 기존 DT 재구성 영상의 평균 SNR은 각각 28.38 및 61.03% 높은 결과를 확 인하였다.
Fig. 6은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가 변화하였 을 때 s-IGDT 및 기존 DT 3차원 재구성 영상에 대한 공간 주파수 별 NPS 곡선을 보여준다. 동일한 투영상 개수에 대 한 s-IGDT와 기존 DT 재구성 영상 간의 NPS 곡선은 고주 파수 영역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투영상 개수가 10장 에서 40장으로 증가함에 따라 s-IGDT 및 기존 DT 재구성 영상의 고주파수 잡음 성분이 감소하였다. 선형 X-선원 배 열을 적용한 s-IGDT 재구성 영상은 공간주파수 전 영역에 대하여 가장 낮은 잡음 성분을 포함하였고,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을 적용한 s-IGDT 재구성 영상은 고주파수 영 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잡음 성분을 포함하였다.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가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 고, 기존 DT 3차원 재구성 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s-IGDT 시스템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의 공간 및 깊이분해능은 기 존 DT 재구성 영상과는 달리 투영상 개수 증가에 따라 향상 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s-IGDT 시스템의 투영상에서 발생하는 잘림 현상 정도 때문이다. 투영상 개 수가 증가함에 따라 s-IGDT 시스템 투영상 간의 연속성이 향상되고, 피사체 정보 손실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대적으 로 잘림 현상의 정도가 줄어든다[22]. 따라서 잘림 현상이 3차원 재구성 영상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여 분해능이 향 상될 수 있다. s-IGDT 시스템의 투영상 잘림 현상이 재구 성 영상에 미치는 영향은 X-선원 배열 형태에 따른 분해능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에 따르면 s-IGDT 시스템 에 선형 X-선원 배열 형태를 적용하였을 때 3차원 재구성 영상의 공간 및 깊이 분해능이 가장 우수하다. 선형 X-선원 배열 형태는 투영상 획득을 위해 X-선 초점이 y 축 방향을 따라 위치하기 때문에 타 배열 형태에 비해 투영상 잘림 현 상이 발생하는 부분이 일정하다[23]. 또한, 획득한 투영상 간의 확대도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잘림 현상이 발생하 는 부분이 중복된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해 선형 X-선원 배열을 기반으로 한 s-IGDT 시스템의 투영상 잘림 현상이 최소화되고, 3차원 재구성 영상의 분해능은 향상될 수 있 다. 투영상 개수가 많을수록 기존 DT에 비해 s-IGDT 3차 원 재구성 영상의 분해능이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따 라서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의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 해서는 많은 수의 투영상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의 잡음 특성은 투영상 개수 증가와 함께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투영상 개 수 증가와 함께 고주파수 잡음 성분의 감소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3가지 X-선원 배열 형태 중 선형 X-선원 배열을 적용한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의 잡음 특성이 가장 우수하며, 기울어진 원형 X-선원 배열을 적용 하였을 때 3차원 재구성 영상의 잡음 특성이 가장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s-IGDT 시스템의 특징은 기존 DT 시스템의 특징과 유사하며, s-IGDT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3차원 재구성 영상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 다[24]. 하지만 SNR 측정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 이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 변화에도 s-IGDT 재 구성 영상의 잡음 수준이 기존 DT 재구성 영상보다 높은 결 과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IGDT 시스템의 기하학 적 특성 때문이다. s-IGDT 시스템은 고정형 검출기 사용으 로 인해 투영상 잘림 현상 및 피사체 정보 손실이 발생하고, 이는 3차원 재구성 영상의 잡음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s-IGDT 재구성 영상의 잡음 특성을 기존 DT 재구 성 영상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투영상의 잘림 현상 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s-IGDT 시스 템의 투영상 잘림 현상 완화 기술 개발은 추후 연구에서 다 를 예정이다. 또한, 방사선량이 s-IGDT 재구성 영상에 미 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획득 한 영상의 화질을 분석할 예정이다.
s-IGDT 시스템은 기존 DT 시스템에 비해 투영상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방사선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3차원 재구성 영상의 화질 특징 뿐만 아니라 영상 획득 소요 시간 및 피폭 방사선량에 대한 분석을 통해 s-IGDT 시스템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 수 이외에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 화질에 영향을 미치 는 기하학적 조건 및 영상 획득 파라미터의 최적화를 통해 초고화질 s-IGDT 재구성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X-선원 배열 형태 및 투영상 개수가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고, 기존 DT 재구성 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s-IGDT 시스템 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s-IGDT 3차원 재구 성 영상의 분해능 및 잡음 특성은 선형 X-선원 배열 및 40 장의 투영상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으며, 해당 결 과는 기존 DT 재구성 영상의 분해능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s-IGDT 시스템 의 임상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s-IGDT 3차원 재구성 영상의 화질 최적화 및 다양한 DT 시 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