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의료기관평가 시행 이후 환자안전 측면에서 감염관리와 활동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 이를 수행하는 부서를 확대 하거나 의료기구 감염관리 등의 조사를 모든 장소 및 직원 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는 환자안전 보장 측면에서 의료 관련 감염을 감소시키고 감염 발생 시 의료비용 증가와 환 자의 유병을 일으켜 영구적 후유증과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어 감염관리는 환자안전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1-2]. 의료관련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은 환자 가 의료기관에 입원하고 48시간 후, 퇴원 후 2주 이내, 수술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정의한다[3]. 의료서비 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의료기구, 의료물품의 올바른 소독 과 멸균은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사항이며 의료 기관의 환경에서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기 쉬우며, 이러한 환경은 환자에게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4]. 의료기관 에서 시행하는 침습적 시술 또는 검사가 현재 증가하고 있 는 실정이며, 그리고 각종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도 증가하 고 있어 의료관련 감염의 예방이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5]. 의료관련 감염은 적절한 감염관리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그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분야이 며 국민보건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로서 이를 예방, 관리 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6].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소형/개인의원, 준종합병원, 종합병원의 임상 초음파 사들을 중심으로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체계와 초음파검사 실 내 감염관리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연구대상으로는 부산광역시 소재 의료기관에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임상초음파사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료기관은 소형/개인의원, 준종합병원, 종합병원으로 분류 하였다. 2019년 5월 15일부터 2019년 9월 15일까지 180부 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 164부에서 설문자료 로서 응답에 대해 무성의하거나 응답이 부족한 8부를 제외 하고 총 156개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1) 설문 문항 구성
본 연구의 설문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성별, 연 령, 초음파 실무경력, 근무기관별로 조사하고 설문 내용구 성은 Table 1을 기초로 작성하였다. 설문에 대한 신뢰성 검 정을 위해 15명의 임상초음파사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2019년 3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 실시하고, 예비조사에 서 설문 내용이 어렵거나 내용전달이 명확하지 않고 중첩된 내용의 설문은 수정하였다. 최종 설문지는 의료기관 내 감 염관리 영역(5문항), 소독과 멸균 영역(4문항),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7문항), 젤 관리 영역(4문항)에서 총 20문항으로 작성하였다[7-13].
2) 설문 문항 척도 및 신뢰도 분석
모든 문항은 Likert방식에 의한 5점 척도법(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하였다[14].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영역별로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여 Table 2에 나타냈 다. 문항 신뢰도 결과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 계수는 0.958로 나타났다.
3)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PSS Ver. 25.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감염관리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 을 통해 문항 간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각 문항의 응답분포 를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차 이검증을 위해 성별은 비모수 검정(Mann-whitney검정) 을 시행하였다. 연령, 근무기관, 초음파 실무경력에 따른 감염 인식도 수준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시행하고, 사후검증은 Duncan분석 을 실시하였다. 변수들 간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을 하였다. 통 계적 유의성은 p<0.05를 기준으로 정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에 나타냈다.
성별로는 남성 8명(5.1%), 여성 148명(94.9%), 연령대는 20대 16명(10.3%), 30대 52명(33.3%), 40대 64명(41.0%), 50대 24명(15.4%)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은 소형/개인의 원 36명(23.1%), 준종합병원 96명(61.5%), 종합병원 24명 (15.4%)으로 나타났다. 실무경력은 1-5년 20명(12.8%), 6-10년 40명(25.6%), 11-15년 24명(15.4%), 16-20년 40 명(25.6%), 21년 이상 32명(20.5%)으로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인식도 분석
성별에 따른 초음파실 감염관리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에 나타냈다.
남성은 젤 관리 영역(4.12±0.13)에서 인식도가 높게 나 타났으며, 여성은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4.08±0.66)에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남성은 소독과 멸균 영역 (3.40±0.13)에서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의료 기관 내 감염관리 영역(3.92±0.71)에서 인식도가 낮게 나 타났다. 소독과 멸균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p<0.05),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영역, 트랜스듀스 관리 영 역, 젤 관리 영역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연령에 따른 인식도 분석
연령대에 따른 초음파실 감염관리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는 Table 5에 나타냈다.
20대는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영역(4.35±0.57), 30대는 소독과 멸균 영역(4.42±0.56), 40대는 트랜스듀스 관리 영 역(4.00±0.66), 50대는 젤 관리 영역(3.79±0.27)에서 인 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연령대에서는 트랜스듀스 관리 체계 영역(4.07±0.64)에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의료 기관 내 감염관리 영역, 소독과 멸균 영역,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01), 젤 관리 영역에서 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4. 근무기관에 따른 인식도 분석
근무기관에 따른 초음파실 감염관리 인식도를 분석한 결 과는 Table 6에 나타냈다.
소형/개인의원, 준종합병원에서는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 (4.17±0.50, 3.89±0.68)에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종합병원에서는 소독과 멸균 영역(4.75±0.00)에서 인식도 가 높게 나타났다. 근무기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의료기 관 내 감염관리 영역, 소독과 멸균 영역,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 젤 관리 영역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1).
5. 실무경력에 따른 인식도 분석
실무경력에 따른 감염관리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에 나타냈다.
1-5년차는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영역(4.16±0.64), 6-10년 차는 소독과 멸균 영역(4.52±0.45), 11-15년차와 16-20년차 는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4.33±0.77, 3.91±0.62), 21년차 이 상은 젤 관리 영역(3.84±0.26)에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실무경력 전체에서는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4.07±0.64)에 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실무경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는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영역, 소독과 멸균 영역, 트랜스듀 스 관리 영역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01), 젤리 영역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6. 감염관리 영역별 세부 문항 인식도 분석
감염관리 영역별 문항별 세부 분석은 Table 8에 나타냈 다. 세부 영역별로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영역에서는 2번 문항(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기구와 물품의 세척, 소독, 멸균에 대해 문서화 된 규정(장소, 방법, 수행자, 회수 등) 을 마련하고, 이를 이행한다)에서 4.12±0.83로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독과 멸균 영역에서는 1번 문항(의료 기구 및 물품은 환자와의 접촉 방법과 상황에 따라 고위험 기구, 준 위험 기구 및 비 위험 기구로 분류하며, 이에 따라 소독과 멸균의 수준을 적용한다)에서 4.04±0.70로 인식도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에서는 6번 문항(복부 초음파 검사 후 손상되지 않은 피부와 접촉하므 로 낮은 수준의 소독을 시행한다)에서 4.34±0.61로 인식도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젤 관리 영역에서는 1번 문항(젤 관 리와 멸균/비멸균 젤의 사용 대상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고 제품의 크기와 유형을 고려하여 선택한다)에서 4.26±0.64 로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7. 감염관리 인식도 하부요인 간 상관관계
초음파실 감염관리 인식도 대한 하부요인 간 상관관계 분 석 결과는 Table 9에 나타냈다.
영역별로 상관관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의료기간 내 감염관리 영역과 소독과 멸균 영역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높 게 나타났다(r=0.994).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과 소독과 멸 균 영역(r=0.767),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과 의료기관 내 감 염관리 영역(r=0.678), 의료기간 내 감염관리 영역과 젤 관리 영역(r=0.649), 젤 관리 영역과 소독과 멸균 영역 (r=0.586), 젤 관리 영역과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r=0.530) 순서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역별 간의 상관관계 정도는 선형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Ⅳ. 고 찰
본 연구는 소형/개인의원, 준종합병원, 종합병원의 초음 파 검사실의 병원감염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임상초음 파사들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설문 조 사한 연구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염 인식도 결과 한 등[15]은 연구에서 병원감염관리 인식도는 연령이 높을수 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감염인식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 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실무경력이 길 수록 감염인식도는 낮게 나와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였다. 정[16]은 연구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감염관리 인식도 가 낮다는 연구결과에 대하여 높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감염 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높은 연령군 에 대한 감염관리 인식도를 높일 수 있는 해결책으로 제시 하고자 한다. 김 등[17]의 연구에서 초음파실 근무인원에 대 한 감염관리 인식도 조사에서 초음파 장비 위생에 대한 감 염관리 인식도는 3.6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장비에 해당하는 트랜스듀스 관리 영역에서 4.07점, 장비 위생에 관련되는 젤 관리 영역에서 3.96점으로 감염관리 인 식도가 기존 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등[18]은 연구에서 젤 등에 의해서 세균증식과 트랜스듀스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 에서도 감염인식도 결과를 바탕으로 트랜스듀스, 젤 관리 영역에 대하여 감염관리 교육과 메뉴얼을 작성하여 감염관 리 교육을 시행한다면 향후 감염관리 인식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생각되며 더불어 초음파 장비 사용에 따른 2차 감염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기관 내 감염관 리체계 영역에서는 문항 2번(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기 구와 물품의 세척, 소독, 멸균에 대해 문서화 된 규정(장소, 방법, 수행자, 회수 등)을 마련하고, 이를 이행한다)에서 가 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시행되고 있는 의료 기관 인증평가에서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체계 구축과 관련 한 결과로 생각된다. 김 등[19]의 연구에서 직종별 의료관련 감염 관리 인지도에서 간호사가 4.6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 난 것은 간호사가 환자와 직접적 접촉이 가장 많은 직종으 로 각종 감염교육이나 감염에 대한 지식정도 등이 높은 결 과로 여겨지며, 따라서 초음파 검사실의 감염관리에 있어 검사를 시행하는 주체인 임상초음파사들을 대상으로 감염 관련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감염관리 인식도는 더 높아질 것 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초음파검사실 감염 인식도 조사를 위한 문항 구성에 있어 트랜스듀스 세척, 소 독, 멸균 시 고려할 요소, 트랜스듀스의 보관, 초음파 장비 및 검사실 환경에 대한 설문 문항이 없어 전체적인 초음파 검사실에 대한 감염관리 인식도를 알아보는데 한계가 있는 논문이었으며 이러한 문항들을 보완하여 향후 연구를 진행 한다면 초음파 검사실 감염관리 인식도를 평가하는 기초자 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초음파검사를 담당하고 있는 임상초음파사들 의 초음파 검사실 감염관리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으 로 진행한 연구였으며 4개의 영역별 감염인식도는 트랜스듀 스 관리, 소독과 멸균, 젤 관리,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영역 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임상초음파사들이 생각하는 초음파 검사실 감염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방법은 상관분 석 결과에서 보듯이 트랜스듀스 관리와 젤 관리를 소독과 멸균 적용 영역에 맞게 시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초음 파실 감염관리로 나타났다. 향후 초음파 검사실 감염관리에 있어 트랜스듀스와 젤 관리에 관한 소독과 멸균의 적용원칙 을 체계화하여 적용한다면 초음파 검사실 감염을 최소화 및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