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방사선치료는 종양 조직에 최대 선량으로 조사하고 정상 조직에 최소 선량을 조사함으로써 정상장기의 부작용과 합 병증 발생률을 줄이고, 인체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는 종양 의 특성에 대항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 기술이 발전되어 왔 다[1]. 방사선치료 대상인 종양 즉 표적이 피부표면에 위치 한 경우 광자선으로 가능하지만 전자선을 이용하여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전자선의 물리적 특성 영향과 밀접하다. 전자선의 물리적 특성은 산란박, 조준기 개방, 조사통 구조, 조사 면의 크기 및 형태 그리고 차폐체 밀도 및 두께 등에 따라 전자선이 투과할 시 물질의 원자핵 혹은 궤도전자와 상호작용이 일어나 입사 전자들의 운동 에 너지와 방향에 변화가 일어나 다중 산란이 발생한다[2,3]. 따라서 다중 산란 영향으로 인해 전자선은 조사선량이 유효 치료 80% 심부선량백분율(Percentage Depth Dose; PDD) 을 지나면 선량 흡수가 급격히 감소로 방사선 영향이 적어 져 부작용 발생률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전자선 치료 시 체 표에서 5 cm 이하 깊이 표재성 종양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4]. 표재성 종양 치료 시 표적 주변의 손상위험장기가 위치 할 경우 방사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매우 정밀한 치 료계획 및 차폐방법이 요구되는데, 손상위험장기에 과도한 방사선 영향을 받으면 부작용 또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 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정체(lens) 부위 주위에 기저세포 암(basal cell carcinoma)이 발생하여 전자선 치료를 시행 할 경우 수정체는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장기로 수정체 역 치 선량 2 Gy 이상 피폭 받을 시 일시적으로 백내장이 발생 하며, 5 Gy 이상 피폭 받았을 때는 만성 장해의 백내장이 발생한다[5].
따라서 표재성 종양 치료 시 손상위험장기의 방사선 노출 을 줄이기 위해 차폐체를 제작하여 방사선 노출을 최대한 줄여주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임상에서는 치료 기술에 따른 다양한 차폐방법을 적용하여 차폐를 시행하고 있다.
방사선치료를 위해 차폐체 제작을 할 경우 전자선 치료 차폐 방법은 차폐 블록을 부착한 조사통을 표적에 중심을 맞추어 차폐를 시행하는데, 조사통에 부착하는 차폐 블록과 인체 표면 간 거리에 의하여 공기층(Air gap)이 생겨 문제 가 발생한다. 이러한 공기층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 층이 생기지 않도록 조사통을 조사 부위에 최대한 밀착하지 만 조사되는 인체 표면이 불규칙하여 공기층이 생길 확률이 높다. 따라서 표면 선량이 감소하여 원하는 차폐효율을 얻 기 힘들다[6-8]. 또한 광자선 치료 차폐방법은 환자 표면을 스티로폼을 통해 조형을 만든 후 저용융점 납합금을 이용하 여 차폐체를 수작업으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 법의 제한성은 첫 째, 종양 위치한 부분마다 모양은 다르고, 환자마다 인체 해부학적 구조 및 조사방향이 달라지므로 환 자 개별적 맞춤형으로 제작하는 번거로움으로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린다. 둘째, 차폐체 제작을 위해 공구를 이용하여 수 작업으로 차폐체를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종사자에게 발생 할 수 있는 개인 숙련도에 따라 차폐체 제작의 완성도가 좌 우된다. 셋째, 환자 맞춤형의 차폐체를 제작하는 경우 환자 의 표면을 본뜨기 위하여 석고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러한 방법은 석고를 환자 표면에 직접 접촉해야하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함을 발생 시킬 수 있다 [9-11].
따라서 선행 연구들을 통해 기존 방사선 차폐방법의 문제 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손상위험장기 차 폐방법에 대한 뚜렷한 해결 방법이 없기 때문에 개선이 필 요하다. 본 연구는 저용융점 납합금과 현재 의료 기관에서 사용이 증가하는 3-Dimensional(3D) 프린터 기술을 접목 한[12, 13] 차폐체를 제작하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3D 프 린터 기술을 통해 효율적인 차폐체 제작이 가능하다.
3D 프린터 방식의 종류에는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 하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방식으로 PolyJet,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SLA),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InkJet, DLP (Digital Lighting Process: DLP)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 는 제작비용과 시간 면에서 효율적이며 타 방식보다 장치의 구조와 프로세스가 간단하여 보급률이 높아 어디서든 프린 터를 구매하기 쉬운 가장 대표적인 방식인 FDM 방식을 사 용하였다[14].
방사선 차폐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한 3D 프린터 기술을 활용한 차폐체 제작방법은 CT Simulator를 통해 인체 모형 팬톰(Alderson Rando phantom)을 스캔 후 DICOM 파일을 STL 파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STL 파일을 이용하여 치료 부위의 체표 윤곽과 일치하는 환자 맞춤형 차폐체와 주형틀을 디자인했다. 디자인된 모델을 3D 프린 터로 인쇄 후 저용융점 납합금을 이용하여 3D 환자 맞춤형 차폐체(Patient Customized Shielding Block: PCSB)를 제작하였다. PCSB는 개인 맞춤형 제작이 쉽고, 불규칙한 체표 윤곽에 균일한 선량 분포를 종양에 조사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4]. 또한 높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적 주변의 손상위험장기를 차폐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3D 프린터 기술은 굴곡 진 부분 또는 복잡한 형상 제작에 용이하고 정확하여 완제 품 제작 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 안에 제작 가능하여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업무효율 증대와 더불어 환자는 보다 정확한 차폐체 제작으로 표적으로의 선 량 전달이 더 정확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차폐방법의 문제점 보완을 위 하여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차폐체 제작 방법을 고안했으며, 차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팬텀의 손상위험장 기 선량 분포를 비교 및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차폐체 제작 에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전자선 치료 시 정상조직에 대한 기존의 차폐 방식과 인체 표면을 직접 차폐하는 환자 맞춤형 차폐체 (Patient Customized Shielding Block : PCSB)를 이용한 방법에 따른 손상위험장기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고자 하 였다. 인체의 얼굴 부위 중 수정체(lens)는 손상위험장기로 써 방사선 감수성이 높기 때문에 인체 모형 팬톰(Alderson Rando phantom)의 얼굴 부위 중 임의로 수정체(lens)가 위치한 눈(Eye) 주변에 크기 5 cm인 피부 종양이 발생한 가 정하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정된 종양을 치료하는 과정에 서 사용되는 환자 맞춤형 차폐체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차폐 방법에 따른 손상위험장기의 선량 측정을 실 시하였다.
1. 환자 맞춤형 차폐체 설계 및 제작
환자 맞춤형 차폐체(Patient customized shielding block: PCSB) 제작은 CT 모의치료기(Light speed RT 16, GE, U.S.A) 를 이용하여 획득한 인체 모형 팬톰(Alderson Rando phantom) CT 영상을 바탕으로 영상을 제작하였다[15]. 획득한 CT 영 상을 이용해 표재성 종양의 치료계획은 전산화치료계획컴 퓨터인 Phillips사 Pinnacle3, Ver. 16.0)을 사용하여 치료 계획을 세웠다. 치료계획을 통해 빔의 방향, 에너지와 치료 부위 주변의 고려해야 할 장기와 차폐체 사용 여부를 결정 하고 제작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CT 영상을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DICOM) 파일형식으로 얻었다. 3D 프린터로 계획한 환자 맞춤형 차폐체 출력을 위해 이미지 파일 형식 변경이 필요하여 Materialise Mimics (ver.21.0, Belgium) 을 이용하여 DICOM 파일 형식이 아닌 STL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였고, 변환된 STL 파일은 3D 모델링 프로그램인 메 타세콰이아(Metasequoia 4, Ver.4.6, Japan)을 사용하여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모델링 진행하였다. 환자 맞춤형 차 폐체의 재질로 사용한 저용융점 납합금(Cerrobend Alloy) 구성은 비스무스(Bi)+납(Pb)+주석(Sn)+카드뮴(Cd)으로 3D 프린터로 직접 출력할 수 없어 모델링 된 환자 맞춤형 차폐 체를 이용하여 주형틀을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환자 맞춤 형 차폐체 주형틀은 적층형 방식인 FDM 방식 3D 프린터 (maketbot replicator z18, U.S.A)로 출력하였으며, 사용 된 필라멘트는 생분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Polylactic Acid: PLA)를 사용하였다. 출력된 주형틀에 저용융점 납합 금을 부어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제작하였다[Fig. 1]. 이런 과정으로 Alderson Rando phantom에 가정된 표재성 종양 조직을 차폐하기 위한 환자 맞춤형 차폐체는 1.5 cm, 1 cm 이다[Fig. 2], [15].
2. 전자선 치료 Set-up
Alderson Rando phantom에 표재성 종양을 치료하기 위 해 선형가속기(IX Varian, CA, U.S.A)를 이용하여 갠트리 각도 325°, 선원 표면 간 거리(Source Surface Distance: SSD) 100 cm로 설정하였으며, 선속 중심과 표적 부위와의 중심을 일치시켰다[Fig. 3].
3. 전자선 치료 시 차폐방법에 따른 손상위험장기 선량측정
본 실험은 손상위험장기에 대한 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 정체(lens)가 위치한 눈꺼풀 표면에 필름을 부착하였다. 선 량 측정에 사용된 필름은 차폐체의 유무와 방식에 따른 선 량을 측정하기 위해 선량 흡수 범위가 1∼10 Gy로 단위 에너지 100 KeV부터 MeV까지 선량 측정 범위가 넓은 GafChromic EBT3 film, Ashland, U.S.A를 사용하였으며 [16, 17] 차폐 방법마다 필름의 위치는 동일하게 부착하였 다. 차폐방식에 따른 손상위험장기인 수정체에 들어가는 선 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6 × 6 cm2 조사면 크기로 만들어 전 자선 치료 시 사용되는 조사통에 부착하는 기존 방법의 차 폐체와 환자의 치료 부위에 직접 올려 사용하는 환자 맞춤 형 차폐체를 사용하였다. 아래 그림은 4가지 실험 방법으로 분류하였고, 6, 9, 12 MeV의 에너지를 조사하며 각 차폐방 식과 환자 맞춤형 차폐체의 두께(1 cm, 1.5 cm)에 따른 손 상위험장기 선량을 측정하였다[Fig. 4]
-
(1) 차폐체 사용 안 한 경우: 조사통에 차폐 블록을 장착 하지 않고 선량을 측정
-
(2) 기존의 전자선 치료 시 사용되는 차폐 블록 사용한 경 우: 기존의 전자선 치료방식과 동일하게 조사통에 차폐 블 록을 장착한 후 선량을 측정
-
(3)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사용한 경우: 조사통에 차폐 블 록을 장착하지 않고 환자 맞춤형 차폐체만 Alderson Rando phantom에 직접 밀착시킨 후 선량을 측정
-
(4) 기존의 전자선 치료 시 사용되는 차폐 블록과 함께 사 용한 경우: 기존의 전자선 차폐 블록과 환자 맞춤형 차폐체 를 동시에 장착시킨 후 선량을 측정
위의 실험과정에서 차폐 방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과정은 기하학적 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 측정되었으며 기 계적 선량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2회 반 복 측정하였다. 측정된 EBT3 필름은 디지털 평판 스캐너 (Epson Expression 1000XL – Graphic Arts)을 이용하여 스캔 후 필름 데이터 측정 프로그램(FilmQA – Pro)을 이용 하여 결과 값을 얻은 후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산출하여 차폐체 유무와 차폐 방식 차이에 따른 결과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Ⅲ. 결 과
차폐방법 따라 EBT3 film에 측정된 선량 값은 에너지와 차폐체 두께를 구분하여 Dmin, Dmax, Dmean 값으로 측정하였 고, 측정된 두 번의 선량 값의 평균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 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차폐율을 계산하였다 (식 1), [18]
1. 선량 측정
총 4가지의 측정방법에 대한 선량은 다음과 같이 측청 되 었다. 첫째, 환자 맞춤형 차폐체와 조사통에 부착하는 차폐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EBT3 film에 조사된 평균 선량값 (Dmean)은 6 MeV의 경우 109.53 cGy, 9 MeV의 경우 116.5 cGy, 12 MeV의 경우 118.75 cGy로 측정되었다. 둘째, 차폐 블록만 사용한 방법에서는 조사통에 차폐 블록을 부착한 상 태에서 EBT3 film에 선량을 조사하였으며 측정된 평균 선 량값(Dmean)은 6MeV의 경우 17.71 cGy, 9 MeV의 경우 14.98 cGy, 12 MeV의 경우 14.98 cGy로 측정되었다. 셋째, 환자 맞춤형 차폐체만 사용한 방법에서 평균 선량값(Dmean) 은 두께가 1 cm일 때 6 MeV의 경우 8.75 cGy, 9 MeV의 경우 14.58 cGy, 12 MeV의 경우 16.0 4cGy로 측정되고, 두 께가 1. 5cm일 때 평균 선량값(Dmean)은 6 MeV의 경우 9.75 cGy, 9 MeV의 경우 9.46 cGy, 12 MeV의 경우 8.72 cGy로 측정되었다. 넷째, 차폐 블록과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같이 사용한 방법에서 평균 선량값(Dmean)은 환자 맞춤형 차폐체 두께가 1 cm일 때 6 MeV의 경우 10.23 cGy, 9 MeV의 경우 9.05 cGy, 12 MeV의 경우 14.15 cGy로 측정되었고, 환자 맞춤형 차폐체 두께가 1.5 cm일 때 6 MeV의 경우 12.85 cGy, 9 MeV의 경우 10.88 cGy, 12 MeV의 경우 9.72 cGy 로 측정되었다[Table 1] .
2. 차폐율 계산
차폐 블록을 적용했을 때와 적용하지 않은 두 비교 결과 는 6 MeV인 경우 83.89%, 9 MeV인 경우 87.14%, 12 MeV 인 경우 87.39%로 차폐율이 감소하였다.
환자 맞춤형 차폐체만 사용한 방법은 차폐체를 사용하지 않은 방법에 비해 환자 맞춤형 차폐체가 두께가 1cm일 때 6 MeV인 경우 92.04%, 9 MeV인 경우 87.48%, 12 MeV인 경우 86.49%로 차폐율이 감소하였으며, 환자 맞춤형 차폐 체 두께가 1.5 cm일 때 6 MeV인 경우 91.13%, 9 MeV인 경 우 91.88%, 12 MeV인 경우 92.66%로 차폐율이 감소하였다.
차폐 블록과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동시에 사용한 방법은 차폐체를 사용하지 않은 방법에 비해 환자 맞춤형 차폐체 두께가 1 cm일 때 6 MeV인 경우 90.7%, 9 MeV인 경우 92.23%, 12 MeV인 경우 88.08%로 차폐율이 감소하였으 며, 환자 맞춤형 차폐체 두께가 1.5 cm일 때 6 MeV인 경우 88.31%, 9 MeV인 경우 90.66%, 12 MeV인 경우 91.81%로 차폐율이 감소하였다[Table 2], [Fig. 5].
Ⅳ. 고 찰
1. 환자 맞춤형 차폐체의 차폐 성능
차폐체 제작 시 두께 결정은 치료계획 시 차폐하고자 하 는 부위에 입사하는 빔의 선질과 에너지에 따라 정해진다. 저용융점 납합금의 경우 전자선 차폐는 MeV 1/2 mm 정도 면 95% 차폐를 한다.[19] 따라서 본 논문에서 실험한 6, 9, 12 MeV의 적절한 차폐 두께는 3, 4. 5, 6 mm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1, 1.5 cm 두께의 환자 맞춤형 차폐체 제작을 실시하였고 실험했다. 그 결과 현재 임상에서 적용 하는 전자선 에너지에 따른 6, 9, 12 MeV 차폐 블럭 차폐율 83.89%, 87.14%, 87.39%보다 높은 평균 90%이상 차폐율 확인을 통해 차폐효과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두께에 따라 차폐율이 무조건 높은 결과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에너지에 따라 차폐율의 변화가 비례적 관계를 보여주지 않 았다. 이러한 원인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되어 질 수 있 다.[20, 21] 전자선이 투과하는 차폐체 물질과의 상호작용 으로 인하여 이차 전자 및 제동복사 발생, 표면 선량에 영향 을 주는 후방 산란과 측방 산란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높은 차폐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환자 맞춤형 차폐체 를 기존의 차폐체와 같이 사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하게 되 면 보다 높은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3D 프린터 기술 접목한 환자 맞춤형 차폐체 제작 정합성
기존 차폐체 제작은 방사선치료가 전문인 숙련된 종사자 가 직접 수작업으로 제작하여 정확하게 제작하지만 미세한 부분에 차폐가 필요한 경우 미세한 부분까지 정확하게 고려 한 차폐체를 제작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하 는 환자 맞춤형 차폐체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환자의 체표 윤곽에 맞는 정밀한 모양의 차폐체를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장점이 있다[10,11], [22]. 본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 조사통에 차폐 블록을 부착하여 차폐한 방법과 달리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사용한 차폐 방법에서 환자의 피부표면을 직접적으로 차폐함으로 균일한 선량으로 종양에 조사할 수 있으며 또한 손상위험장 기인 수정체에 조사되는 불필요한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 다. 방사선치료 시 환자의 자세 재현성에서도 환자 맞춤형 차폐체는 환자 체표 데이터로 제작하여 치료 준비과정에서 차폐체를 표적 피부표면에 맞춰서 차폐할 위치에 올려놓기 만 하면 되기 때문에 환자 셋업이 용이하며, 재현성을 증가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한점으로 여 전히 환자의 피부표면에 차폐체를 올려놓음으로써 차폐체 의 무게에 의한 환자의 불편함은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또한 다양한 에너지 선택 및 반복 측정 횟수에 대 한 제한점은 향 후 3D 맞춤형 차폐체 제작을 통한 연구에서 추가적으로 보완해야 하는 제한점도 있다. 추후 여러 연구 를 통해 이러한 부분이 해결된다면 환자 맞춤형 차폐체는 환자가 방사선치료 시 손상위험장기에 조사되는 불필요한 선량을 최소한으로 주며 방사선치료의 목적을 달성할 차폐 방법이라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차폐방법과 차폐체의 유무에 따른 차폐율 을 알아 보기위해 손상위험장기인 수정체에 미치는 전자선 선량을 측정,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3D 프린터로 제작한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사용한 방법이 가장 우수하였다. 차 폐체 제작에서도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경우 기존 차폐체 제작 시간보다 짧았으며,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 업종사자에 대한 오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불규칙한 체표 윤곽에서도 환자 맞춤형의 차폐체를 제작 할 경우 좀 더 세 밀하고 정교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환자 맞춤 형 차폐체 사용은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치료 효과를 보다 더 높일 수 있 을 것이므로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