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방사선을 이용한 영상의학적 검사는 질병을 진단하고 치 료하는데 매우 필수적인 의료기술이다. 그러나 인체에 침습 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사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 한 이론 및 실습 교육이 전문적인 교육환경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문적인 교육환경 개선에는 비용과 체계적인 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방사선(학)과 교육과 정 개선을 위한 교과목 중요도를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기 초과학분야의 영상진단 기술이 매우 중요하며 급변하는 의 료 환경에 대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정을 주장하였다 [1]. 특히 방사선과 관련된 기초전공과목들은 저학년 때 수 강하기 때문에 전공을 처음 접하는 저학년 학생들에게는 다 소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전 으로 학생들이 전공분야 공부에 이를 활용하는 사례가 있으 나 그 만족도는 낮다고 보고하고 있다[2]. 따라서 방사선 (학)과의 교육환경은 교수중심의 전통적인 교수법보다는 학 생들이 소그룹 형태로 참여하는 능동적인 수업을 통해 학생 들의 창의성과 학습 성취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체질 개선 이 요구된다. 학생중심의 학습방법 중 개념지도(Concept Map)를 이용하여 학생 스스로 개념을 찾는 학습형태가 있 다. 이 방법은 1970년 코넬대학교의 조셉 노박(Joseph Novak)교수와 동료들이 과학수업에 적용한 방법이다[3]. 개념지도란 개념과 개념간의 관계를 연결하여 2차원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을 말한다[4]. 즉, 지식을 조직화하고 표현화 하여 초점질문을 교차 연결시키는 것이다. 성공적인 개념지 도 작성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전반적인 맥락에서 각 개념의 상대적 중요성을 이해 및 인지하고 있는 지식 기반으로 상 호 관련된 개념을 연결하고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Clayto 는 개념지도가 효과적이고 활동적인 학습방법임을 보여줬 다고 주장하였다[5]. Tina는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개발하는데 개념지도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말하고 있다[6]. 또한 Brian Spence는 방사선(학)과 학생들 대상으로 개념 지도를 적용하여 학습 성취도를 증진시켰다고 보고하였다 [7]. 최근 국내에서도 개념지도를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비 판적 사고성향을 분석한 연구도 있었으며 초보자의 간호역 량강화에 개념지도를 이용하기도 하였다[8]. 이처럼 개념지 도는 학습효과와 비판적 사고능력을 배양하는데 교육도구 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방사선학 전공자들의 기본 개념 수립은 안전하고 정밀한 방사선학적 검사를 수행하는데 기초가 된다. 그러나 국내 방사선(학)과 교육에서는 개념지도를 적용된 사례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개념지도를 방사선(학)과 저학년들을 대상으로 적용해보고 그 효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 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도 소재의 일개 4년제 대학교의 방사선(학)과 1학년 2학기 의료영상정보학 교과목을 수강한 29명(남자: 19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이론 수업 후 5인 1조의 5개 팀, 4인 1조의 1개 팀으로 나누 어 개념지도 작성을 학습목표에 따라 작성하였다. 개념지도 를 작성한 후 자기 기입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설문조사에 대해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하였다. 먼저 학습내용을 이론적으로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 업 참여정도(수업충실성, 학습정도, 수업좌석위치성향 등) 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자기 기입방식으로 설문조사 한 후 3 점(보통)을 기준으로 3점 이하의 수동 학습자 그룹과 3점 이 상의 능동 학습자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이때 수거된 설문 지의 안정성과 일관성,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크론 바하 알파(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했으며 0.6 이상이면 신뢰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 결과 수동 학 습자 그룹의 수업 참여정도의 α 계수는 0.621, 능동 학습자 그룹은 0.632로 신뢰도에는 이상이 없었다.
2. 개념지도 작성 방법
개념지도는 학습자가 학습목표의 가장 큰 질문을 바탕으 로 상위 개념을 선정하고 종속 개념 간의 관계형성 및 도식 화, 관계간의 설명 순으로 작성하였다. 작성방법은 예를 들 면 Fig. 1과 같이 “방사선의 정의”를 상위 개념으로 선정하 면 “방사선의 종류”, “방사선영상형성”, “생물학적효과”, “방 사선의 작용효과” 등의 종속 개념들과 상호 관련성을 팀별 로 토의하고 창의적으로 도식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식 화 방법은 종이 전지(788×1091 mm)에 모든 팀원들이 색연 필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외에 “산란선”, “방사선영상형성 인자”, “영상품질”, “X선 조사조건” 등의 상위개념을 선정하 여 실시하였다.
3. 개념지도 교육효과 평가 및 분석
수집된 데이터는 SPSS software (SPSS 24.0 for Windows, SPSS,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다. 또한 도출된 두 그룹은 개념지도 작성 방법에 대한 이해도 차이를 검증한 후 이론수업과 개념작성 수업에 대해 각각 만족도, 충실도, 학습 성취도, 흥미도에 대해 대응표본 t-test 검정으로 평 균을 비교하였다. 관련 요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 여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이때 p 값이 0.05보다 작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정의하였다.
Ⅲ. 결 과
1. 학습자 그룹의 분류 및 일반적 특성
Table 1과 같이 총 응답자는 29명 중 수업에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수동 학습자는 총 19명이었으며 남자가 10명 (20.0±0.0세), 여자 9명(20.2±0.7)세로 조사되었으며, 수 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능동 학습자는 총 10명으로 남자가 9명(20.0±0.0세), 여자가 1명(20.0±0.0세)으로 본 연구에 서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수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 였다.
2. 그룹별 개념지도 작성 방법의 이해도 검증
본 연구에서는 능동 학습자 그룹과 수동 학습자 그룹 사 이에 개념지도 작성 방법의 이해도를 검증한 결과 Table 2 와 같이 남자 수동 학습자 그룹과 능동 학습자 그룹 간의 유 의한 차이는 없었다(p=0.182). 또한 여자 수동 학습자 그룹 과 능동 학습자 그룹 사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312). 따라서 두 그룹은 개념지도 작성 방법에 동일하 게 이해하고 있었다.
3. 그룹별 이론 및 개념지도 작성의 교육효과 변수 간의 상관관계
이론 교육에서 그룹별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의 상 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Table 3과 같이 수동 학습 자 그룹에서는 만족도와 충실도의 상관계수가 0.626로 가장 높았으며 만족도와 흥미도는 0.56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 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흥미도는 충실도와 0.477의 상관 계수를 보였다. 반면 능동 학습자 그룹에서는 학습 성취도와 만족도간의 상관계수가 0.777로 가장 높았으며 유일하게 유 의미한 변수 간의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개념지도 작성 교육에서 수동 학습자 그룹은 Table 4와 같이 모든 변수들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만족도와 흥미도의 상관계수가 0.896로 가장 높았다. 반면 능동 학습자 그룹에서는 흥미도가 충실도간의 상관계 수가 0.816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습 성취도 간 의 상관계수 0.635로 유의미한 변수 간의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4. 그룹별 개념지도 작성의 교육효과 비교
개념지도 작성이 방사선(학)과 학생들에게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동 학습자 그룹과 능동 학습자 그 룹으로 구분하여 이론 수업만 수강했을 때와 개념지도 작성 한 후 교육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Table 5와 같이 수동 학습자 그룹에서는 만족도를 제외한 변수에서 유의미하게 교육효과가 향상되었다. 반면 능동 학습자 그룹에서는 모든 변수에서 유의하게 교육효과가 높아졌다.
Ⅳ. 고 찰
방사선(학)과는 임상에서 필요한 방사선사를 배출하는 것 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의학 학술을 기반으로 교육과 정이 수립되어 있기 때문에 저학년 때는 기초과학과 기초전 공교과목을 이수한 후 고학년 때 임상 전공과목을 수강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신입생들이 기초전공과목을 어려워 하거나 저항감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은 전공의 흥미도를 떨어뜨리거나 중도탈락의 원인이 되기 도 한다[9]. 최근에는 학력인구 감소로 인하여 대학수학능 력이 떨어지는 신입생들이 입학을 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저 학년 때의 학업의 어려움을 더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많 은 연구자들은 학생 눈높이를 맞추면서 학습 성취도를 증대 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의 다 양한 기술을 활용한 학습방법은 학생들의 학업 효과를 증대 시키고 있다. 그 예로서 웹 기반의 컴퓨터 교육보조 시스템 의 활용, 가상현실과 3D 프린팅 기술 그리고 시뮬레이션 수 업 등을 통해 시・공간적 제약을 벗어나는 교육이 시도되고 있다[10-13]. 이러한 시도는 과거 교수의 일방적인 교육법 이 아닌 학생 스스로를 수업에 참여시키는 자기주도 학습법 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언제든지 정보 를 접속할 수 있고 자기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시 대에서 자라난 학생들은 개성이 뚜렷하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창의적인 교육이 필 요하다[14]. 특히 방사선(학)과는 의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및 공학적 지식을 요구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인 교수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사례에서는 65.5%의 학생들이 소극적인 수업태도 를 보이고 있다고 자가 진단하였다. 이들은 학습 성취도보 다는 수업의 흥미도와 충실도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 지만 수업에 적극적인 수업태도를 보이는 능동 학습자 학생 들은 학습 성취도, 즉 본인이 얼마나 지식적 습득이 있었는 지에 따라 만족도가 좌우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최근 창의적이면서 학생 스스로를 수업에 참여시킬 수 있는 개념지도 작성을 통해 저학년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극적인 수업태도를 보인 수동 학습자 학생들은 모든 교육효과 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형성 되었으며 만족도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의 점수는 유의하 게 상승되었다. 비록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이 론과 개념지도 작성 수업 모두 양호하게 높은 만족도를 보 이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 성취도에 따라 만족도의 영 향을 받았던 능동 학습자 학생들도 개념지도 작성 이후에는 수업의 흥미도가 충실도와 학습 성취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 계를 보이고 있어 이전 이론 수업 때 보다 수업을 재미있게 충실히 수행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개념지도 작성을 통한 교육은 전반적으로 두 그룹 모두에서 교육효과가 향상 되었으며 단순히 교재중심으로 진행된 수업방식보다 흥미 도와 수업 충실도를 높이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팀 기반으 로 개념에 대한 토의를 진행한 후 연결성을 구체화하는 과 정에서 학생들의 사고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15]. 본 교육에서는 개념지도의 작 성을 종이 전지로 이용했지만 교육용 보드 판을 이용한다면 재사용이 용이한 교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에서 일인 교수에 의하여 수행된 사례 연구로서 모든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그 러나 시대변화에 따른 창의적인 방사선학 교육방법이 요구 되는 상황에서 개념지도의 활용 사례는 방사선학 교육 방법 론으로 처음 소개되었고 그 교육효과를 확인한 점은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개념지도 작성을 방사선(학)과 저학년들에 게 적용해보고 그 사례와 효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그 결 과, 수동 학습자 그룹은 만족도를 제외한 충실도, 학습 성취 도, 흥미도에서 유의하게 교육효과가 상승되었으며 능동 학 습자 그룹은 모든 변수에서 유의하게 교육효과가 상승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 스스로가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개념지도 작성이 방사선학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례를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교육방법론 연 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