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3509(Print)
ISSN : 2384-1168(Onlin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42 No.2 pp.131-135
DOI : https://doi.org/10.17946/JRST.2019.42.2.131

Evaluation of Absorbed Dose According to Nanoparticle Density During the Breast Cancer Brachytherapy

Deuk-Hee Lee1), Ji-Hee Nam2), Jung-Hoon Kim3)
1)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Korea
2)Department of Radiology,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Korea
3)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Kim Jung Hoon, Department of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57 Oryundae-ro, Geumjeong-gu, Busan, Korea, 46252 / Tel: +82-51-510-0583/ E-mail: donald@cup.ac.kr
12/02/2019 01/03/2019 18/04/201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brachytherapy of breast cancer by dose assessment which a steady increased in Korea women. The dose assessment was p erformed u sing t he MCNPX p rogram, a MonteCarlo simulation technique. The sources used for brachytherapy was 192Ir. And nanoparticle which used for dose enhancement was gold. The density of nanoparticle was 7, 18 and 30 ㎎. Evaluation of absorbed dose according to distance is measured at a distance of 30, 50, 100 and 200 ㎝ from the patient. As a result, The breast absorbed dose result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ensity of nanoparticle. And the surrounding orga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nsity. But, in some organs, the absorbed dose decreased as the density of nanoparticles increased. Absorbed dose according to the distance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distance.



유방암 근접치료 시 나노입자의 밀도에 따른 흡수선량 평가

이 득희1), 남 지희2), 김 정훈3)
1)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2)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영상의학과
3)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6R1D1A1B03931929

    Ⅰ. 서 론

    최근 중앙암등록본부의 발표에 따르면 국내 암 발생률 은 과거에 비해 감소했지만 여성의 대표 암인 유방암은 서 구화된 생활습관과 유방암 조기 검진 효과로 증가하는 경향 성을 보였다[1-3]. 이러한 유방암 치료는 발생연령, 병기, 암 의 병리학적 특성, 환자의 심리상태 등을 고려하여 수술, 방 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내분비치료, 표적치료 등 적절한 치료법을 적용한다[4]. 방사선치료는 크게 외부방사선치료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와 근접방사선치료 (Brachytherapy)를 각각 시행하거나 병행하여 치료한다[5]. 외부방사선치료는 조사영역에 있는 정상장기의 방사선 선 량한도 때문에 종양에 충분한 선량을 조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6]. 이에 반해 근접방사선치료는 밀봉 방사성 동위원 소를 여러 형태로 종양에 삽입하여 고 선량을 국부적으로 집중 조사할 수 있는 방사선 치료 방법이다[7]. 이러한 방사 선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치료가능비를 향상시켜 종양조직 에는 최대한의 선량을 주고,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선량을 주는 것이다[5,7]. 최근에 들어 방사선치료 시 치료가능비 향상을 위하여 나노입자(Nanoparticle)의 사용이 제안되고 있으며, 박은태 등, Chithrani 등, Duc 등 그리고 Khoei 등은 선량증가 물질로 금(aurum, Au), 가돌리늄(gadolinium, Gd), 요오드(iodine, I), 산화철(iron oxide, Fe2O3)등을 이용하 여 흡수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8-11]. 하지만 이러한 나노입자를 활용한 유방암의 근접치료에 대한 선량 평가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의 근접방사선치료 시 표적장기 및 인접장기의 흡수선량을 수학적 모의피폭체를 통하여 예측 하고, 선량증가물질인 금 나노입자 밀도에 따른 차이를 검 증하고자 한다. 또한 간병인 및 주변인에 대한 피폭의 평가 를 위해 거리에 따른 흡수선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몬테카를로 모의모사

    모의모사를 위해 수치의 확률적 분포를 반복실험의 통계 를 통하여 구하는 몬테카를로 방식의 MCNPX(Monte carlo N-Particl Extended, ver.2.5.0,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 였다. 수학적 모의피폭체는 플로리다 대학(University of Florida, UF)에서 수정을 마친 MIRD(Medical internal radiation dose committee)형 팬텀을 사용하였으며, Fig. 1 에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관심영역의 방사선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인 MCNPX 의 F Tally는 MeV/g·e로 흡수선량을 측정하는 6번 Tally를 이 용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식 (1)을 이용하여 ㏉/e로 환산하 였다.

    D = d E d m M e V g × 1.602 × 10 13 J M e V × 10 3 g k g D= Absorbed dose dE= Average energy dm= Unit of mass
    (1)

    2. 나노입자 밀도에 따른 선량평가

    국내 근접치료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일시적 삽입 선 원 192Ir을 대상으로 하여 표적장기와 인접장기의 흡수선량 평가를 수행하였으며[9,12], 192Ir의 제원은 Table 1에 나타 내었다.

    나노입자는 박은태 등, 김정훈 등의 연구결과에서 가장 흡 수선량 증가효과가 크다고 보고한 금 나노입자로 하였으며 [8,13], 크기는 50 ㎚로 설정하여 유방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 시켰다.. 나노입자의 밀도는 Ghorbani 등, Mesbahi 등의 선 행 연구를 참고하여 7, 18, 30 ㎎/g으로 하여 동일하게 표적장 기와 인접장기의 선량증가 효과를 측정하였다[14-15].

    3. 거리에 따른 선량평가

    거리에 따른 선량평가를 위해 30 ㎝, 50 ㎝, 100 ㎝ 그리 고 200 ㎝에 공기 벽을 설치하여 흡수선량을 평가하였으며, Fig. 2에 왼쪽 유방암 근접치료 상황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밀도에 따른 선량평가와 동일하게 나노입자 밀도에 따른 차 이도 평가하였다.

    Ⅲ. 결 과

    1. 나노입자 밀도에 따른 선량평가

    표적장기인 유방에 대한 나노입자 밀도에 따른 흡수선량 의 결과이다. 결과는 Fig. 3과 같이 나타났으며 나노입자가 들어가지 않은 0 ㎎에서 오른쪽 유방 9.21E-15 ㏉/e, 왼쪽 유방에서 9.22E-15 ㏉/e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른쪽 유방 흡수선량이 7 ㎎에서 1.11E-14 ㏉/e, 18 ㎎에서 1.25E-14 ㏉/e 그리고 30 ㎎에 서 1.40E-14 ㏉/e의 결과로 나타났으며, 왼쪽 유방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양쪽 유방을 각각 기준으로 하여 나노입자의 밀도에 따른 주변장기의 선량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나노입자 0 ㎎ 시 피폭선량이 가장 높은 장기는 치료하는 유방과 인접한 폐로 나타났으며, 왼쪽 유방 기준 왼쪽 폐에서 9.87E-16 ㏉/e 의 결과를 보였으며, 오른쪽 유방 기준으로 오른쪽 폐에서 9.82E-16 ㏉/e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심장에서 5.03E-16 ㏉/e로 높은 값을 보이며 왼쪽, 오른쪽 치료여부와 상관없 이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두 장기에 있어서는 밀 도가 높아짐에 따라 미세하지만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다음으로 식도, 기관, 치료 반대 측 폐의 순으로 나타났으 며, 나노입자 밀도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거리에 따른 선량평가

    거리에 따른 결과는 Fig. 4에 나타내었다. 거리 30 ㎝에 서 1.69E-16 ㏉/e의 흡수선량을 나타내었으며, 거리가 멀 어질수록 감소하여 200 ㎝에서는 9.27E-18 ㏉/e의 결과를 보였다. 나노입자 밀도가 높아질수록 가까운 거리에서 미세 하게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 폭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고 찰

    방사선치료 시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은 반응단면적을 크게 하여 흡수선량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6-18]. 이러한 효과로 유방암의 근접치료 시 나노입자의 사용은 치료가능비의 향상으로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 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 하는 유방암을 대상으로 근접치료 시 나노입자 밀도에 따른 흡수선량 차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나노입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표적장기의 흡수선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 다. 이러한 결과는 Mesbahi 등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은 경향성인 것으로 나타났다[15]. 그리고 주변 장기에 대한 흡 수선량은 선원 측과 인접한 페, 심장, 식도 순으로 나타났으 며, Park 등의 선행연구에서의 인접장기에서 선량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와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다[19]. 또한 나노입 자 밀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지만 표적장기와 인접한 장 기의 흡수선량은 밀도가 증가할수록 미세하게 감소하는 경 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나노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방사선치료의 궁극적 목표인 치료가능비를 높여 정상장기 의 피폭을 줄이는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거리에 따른 선량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 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방사선의 거리역자승 법칙 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5]. 반면 밀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선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이나 환자의 몸속에 동위원소가 주입 될 시 그 순간부터 선원으로 관리하는 만큼[20], 소량이라도 나올 시 적절한 관리 및 대처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국내 근접방사선치료 시 192Ir은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 되고 있으며, 비방사능이 커 치료시간은 짧지만 주변 정상조 직에 주는 피폭선량이 높아 일시적 삽입 선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125I (Iodine-125)과 103Pd(Palladium-103)의 경우는 정상조직에 대한 피폭선량은 감소하지만 비방사능이 낮아 치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영구적 삽입 선원으로 이 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를 동반하여 차 후 환자에 게 적절한 치료계획 및 선원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국내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 지속적으로 발생률이 증가 하는 유방암을 대상으로 근접치료 시 나노입자 밀도에 따른 선량평가를 하였다. 나노입자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표적장 기의 흡수선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주변장기에서는 밀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장기 및 거리 에서는 나노입자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흡수선량이 감소하 였다. 그러므로 유방암의 근접치료 시 나노입자의 활용은 치료가능비를 상승시켜 치료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되며, 환자의 환경 및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교육부가 지원하는 한국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의 이공학 개인기초연 구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된 연구임(2016R1D1A1B03931929)

    Figure

    JRST-42-2-131_F1.gif

    Schematic diagram of MIRD phantom

    JRST-42-2-131_F2.gif

    Measurement point of absorbed dos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patient who undergo left breast brachytherapy in MCNPX

    JRST-42-2-131_F3.gif

    Absorbed dose of breast according to the nanoparticles density

    JRST-42-2-131_F4.gif

    Absorbed dose according to distance from patient who undergo breast brachytherapy by density of nanoparticles

    Table

    Characteristic of 192Ir which used in brachytherapy

    Absorbed dose of surrounding organs according to the nanoparticles density when used 192Ir source in right breast brachytherapy (unit: ㏉/e)

    Reference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https://www.cancer.go.kr
    2. Moore MA. Cancer control programs in East Asia: evidence from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2014 Jul; 47(4):183-200.
    3. Jung KW, Won YJ, Kong HJ, Oh CM, Lee DH, Lee JS.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1.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4 Apr;46(2):109-23.
    4.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http://www.kbcs.or.kr
    5. Kang SS, Go IH, Kim GJ, Kim SH, Kim YS, Kim YJ, et al. Radiation Therapeutics. 3rd ed. Seoul, Korea: Chung-ku munhwasa; 2014.
    6. Khan FM.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 3rd ed. Philadelphia, US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7. Hwang CH.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and Secondary Particles in Radiation Dose Enhancement [dissertation]. Busa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8.
    8. Park ET, Lee DH, Im IC. Evaluation of Absorbed Dose According to the Nanoparticle in Prostate Cancer Brachy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Radiology. 2018:12(2):167-72.
    9. Chithrani DB, Jelveh S, Jalali F, Prooijen MV, Allen C, Bristow RG, et al. Gold nanoparticles as radiation sensitizers in cancer therapy. Radiation Research, 2010 Jun;173(6):719-28.
    10. Duc GL, Miladi I, Alric C, Mowat P, BrBuer-Krisch E, Bouchet A, et al. Toward an image-guided microbeam radiation therapy using gadolinium-based nanoparticle. ACS nano. 2011 Oct;5(12):9566-74.
    11. Khoei S, Mahdavi SR, Fakhimikabir H, Shakeri-Zadeh A, Hashemian A. The role of iron oxide nanoparticles in the radiosensitization of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 line DU145 at megavoltage radiation ener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Biology. 2014 May;90(5):351-6.
    12. Park ET, Kim JH. Dose Evaluation of the Man Adjacent to an Implanted Patient During the Prostate Cancer Brachy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Radiology. 2016:10(1):39-44.
    13. Kim JH, Kim CS, Hwang CH. A Monte Carlo Study of Dose Enhancement according to the Enhancement Agen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7:40(1):93-9.
    14. Ghorbani M, Bakhshabdi M, Golshan A, Knaup C. Dose enhancement by various nanoparticles in prostate brachytherapy. Australasian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 in Medicine. 2013 Dec;36(4): 431-40.
    15. Mesbahi A, Jamali F, Gharehaghaji N. Effect of photon beam energy, gold nano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on the dose enhancement in radiation therapy. BioImpacts. 2013:3(1):29-35.
    16. Berbeco R, Korideck H, Ngwa W, Kumar R, Patel J, Sridhar S, et al. TU‐C‐BRB‐11: In vitro dose enhancement from gold nanoparticles under different clinical MV photon beam configurations. Medical Physics. 2012 Jun;39(6):3900-1.
    17. Brun E, Sanche L, Sicard-Roselli C. Parameters governing gold nanoparticle X-ray radiosensitization of DNA in solution. 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2009 Aug;72(1):128-34.
    18. Chen PC, Mwakwari SC, Oyelere AK. Gold nanoparticles: from nanomedicine to nanosensing. Nanotechnology, Science and Applications. 2008 Nov;2(1):45-66.
    19. Park ET, Kim JH, Im IC. Radiation Dose Calculation using MIRD TYPE PHANTOM in the surrounding Organs during Brachyherapy of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Radiology. 2016; 10(4):271-8.
    20. Jang DG, Ko SJ, Kim CS, Kim JH. Evaluation of Stability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in 2 People Isolation Treatment Room of Radiation Iodin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6;39(3):38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