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3509(Print)
ISSN : 2384-1168(Onlin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9 No.3 pp.391-397
DOI : https://doi.org/10.17946/JRST.2016.39.3.13

Evaluation of Dose According to the Volume and Respiratory Range during SBRT in Lung Cancer

Deuk-Hee Lee1), Eun-Tae Park1), Jung-Hoon Kim2), Se-Seik Kang2)
1)Dept. of Radiation Oncology,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2)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 Eun-Tae Par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75 Bokji-ro, Jin-gu, Busan, 612-896, Republic of Korea / +82-51-890-6677 / linacpet@hanmail.net
June 1, 2016 July 25, 2016 September 5, 2016

Abstract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is effective technic in radiotherapy for low stage lung cancer. But lung cancer is affected by respiratory so accurately concentrate high dose to the target is very difficult. In this study, evaluated the target volume according to how to take the image. And evaluated the dose by photoluminescence glass dosimeter according to how to contour the volume and respiratory range. As a result, evaluated the 4D CT volume was 10.4 cm3 which was closest value of real size target. And in dose case is internal target volume dose was 10.82, 16.88, 21.90 Gy when prescribed dose was 10, 15, 20 Gy and it was the highest dose.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dose was more higher than internal target volume. But it made little difference by respiratory range. Therefore, when moving cancer treatment, acquiring image by 4D CT, contouring internal target volume and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technic would be the best way.


폐암의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 시 체적 설정과 호흡주기에 따른 선량평가

이 득희1), 박 은태1), 김 정훈2), 강 세식2)
1)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2)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저병기 폐암은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 방식이 높은 효과를 나타내지만, 호흡에 의한 움직임으로 인해 정확한 선 량의 조사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움직이는 표적을 대상으로 영상획득 방식에 따른 체적을 분석하고, 체적 설정방식 및 호흡주기에 따른 선량을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체적 획득의 경우 4D CT가 10.4 cm3로 실제 체적인 12.3 cm3에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냈다. 선량평가에서는 ITV가 처방선량 10, 15, 20 Gy에서 각각 10.82, 16.88, 21.90 Gy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RGRT가 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호흡주기에 따른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움직이는 종양의 치료 시 4D CT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 후 ITV를 설정하여 RGRT방식으로 치료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Ⅰ.서 론

    우리나라의 암 발생률은 연평균 3.5%씩 증가하고 있으 며, 2014년 국가암정보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폐암으로 사망 하는 환자는 전체 암 환자의 22.5%로 암종별 사망률 1위를 기록하였다. 폐암은 저 병기에 발견 시 생존률이 49.5%에 이르지만 병기가 높아지면 약 4.9%까지 떨어진다고 보고하 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폐암의 조기 발견은 매우 중요 시 되고 있다1).

    또한 전이가 없고 종양의 크기가 작은 저병기 폐암환자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적 은 분할횟수로 대선량을 조사할 수 있는 정위적 체부 방사 선치료(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기법이 도입되면서 높은 치료 효과를 보이고 있다2-5). 하지만 폐암 은 환자의 호흡에 따른 움직임으로 인해 표적(Target)에 정 확한 선량을 조사하는데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국제 방 사선 단위 측정 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ation Units & Measurements, ICRU)에서는 이런 내 부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ICRU 50의 임상표적체적(Clincal Target Volume, CTV)에 내부여유(Internal Margin, IM) 를 더한 내부표적체적(Internal Target Volume, 이하 ITV) 을 ICRU 62에 포함시켰다6,7). 또한 미국의학물리협회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AAPM)는 종양의 움직임이 5 mm가 넘을 시 호흡 관리가 필 요하다고 권고하였으며, 정확한 표적의 영상획득을 위해 slow CT, 흡·호기 시 호흡멈춤 CT, 4D CT 등을 제안하고 있다8). 국내에서도 장성순 등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호흡 에 영향을 받는 종양을 치료 시 호흡동조 방사선치료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RGRT)가 이익이 있다 고 보고하였다9). 하지만 한 번에 대선량을 조사하는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의 특성상, 사전에 정확한 선량평가와 정량 화가 필수적이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 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상획득 및 체적설정 방식에 따른 표적의 선량과 체적의 정확성을 비교 하고, 호흡동조 방사 선치료의 적용 여부에 따른 선량을 평가함으로써 방사선치 료 효과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Ⅱ.재료 및 방법

    1.연구재료

    Fig. 1은 본 실험을 위해 자체 제작한 팬텀의 외관과 모사 도이며, 호흡주기와 동일하게 표적이 전후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표적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사용된 소재는 조직의 연부조직 밀도인 1.03 g/cm3와 유사한 1.04 g/cm3의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부타디엔 (Butadiene), 스트렌(Styrene)의 합성물질인 ABS를 사용하 였다. 표적의 크기는 미국종양합동위원회(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에서 제시하는 폐암의 저병 기 크기인 3 cm 이하에 부합하도록 지름 2.8 cm, 높이 2 cm 로 제작하였으며, 중앙에는 유리선량계(Photoluminescence Glass Dosimeter, PLD)가 삽입될 수 있게 구멍을 확보 하였다10). 표적의 진폭은 Langen 등의 선행연구에 기초하 여 2 cm로 설정하였다11). 전산화 단층촬영기(SOMATOM Sensation OPEN, Siemens, Germany)를 이용하여 영상 을 촬영하였으며 표적의 주기는 RPM system(Real-Time Position Management system, Varian, USA)을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이후 전산화치료계획시스템(Eclipse version 10.0, Varian, USA)을 사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유리 선량계(GD-302M, Asashi Techno Glass, Japan)를 이용 하여 선량을 측정하였다(Table 1).

    2.연구방법

    1)영상획득 방식에 따른 체적 평가

    전산화 단층 촬영기를 이용하여 2 mm의 두께로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표적은 다음의 조건으로 하였다. 먼저 표 적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하 고정표적)와 표적이 움직 이는 상태(이하 유동표적)를 3D CT로 획득하였다. 다음 으로 동일한 유동표적을 4D CT로 획득하였으며, 이 때 전 체 0~90%의 주기를 10% 단위로 하여 10개의 영상을 얻었 다. 다음으로 체적의 부피를 비교하기 위해 4D CT로 획득 한 10개의 영상 중 가장 안정된 호기 상태인 50% 주기를 이 용하였다12). 표적의 체적은 전산화치료계획시스템을 이용 하였으며 원기둥 체적 공식에 의해 구해진 실제 체적과 비 교하였다[식1].

    C y l i n d e r v o l u m e = π r 2 h ( π=원주율, r=반지름, h=높이 )
    (1)

    Fig. 2는 위 실험에 대한 전반적인 모식도이다.

    2)체적설정에 따른 선량 평가

    체적설정에 따른 선량 차이를 보기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 하였다. 먼저 고정표적과 유동표적을 대상으로 획득한 영상 에 육안적 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이하 GTV)을 설정하였다. 이후 유동표적을 대상으로 4D CT로 획득한 영 상 10개의 전체 주기에 GTV를 설정한 뒤, 전체 체적을 포함 하는 ITV를 설정하였다(Fig. 3). 이 체적을 대상으로 6 MV, 5문(0°, 72°, 144°, 216°, 288°)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 방식으 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미닫이창 조사기법(Sliding window technic)을 적용하였다. 처방선량은 폐암의 정 위적 체부 방사선치료 시 일본과 독일에서 권고하는 10 Gy 와 미국에서 권고하는 15 Gy, 그리고 방사선종양학그룹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에서 권고하 는 20 Gy로 설정하였다5,12). 또한 각각의 처방선량을 바탕 으로 변동계수가 0.05 이하로 유지될 수 있게 10회씩 측정 하였으며, 결과 값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SPSS Ver.22 Inc. USA)를 이용하여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수행하였다. Fig. 4는 위 실험에 대한 간략한 모 식도이다.

    3)호흡동조 방사선치료의 호흡주기에 따른 선량평가

    유동표적을 대상으로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를 수행함 에 있어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방식을 적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때 호흡주기는 40~60%의 호흡주기와 30~70%의 호흡주기를 이용하였으며, 치료계획의 수립 및 처방선량은 체적에 따른 선량평가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Fig. 5). 이렇게 수립된 계획을 이용하여 각각 10회씩 측정 하였으며 변동계수가 0.05 이하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리 고 호흡동조 방사선치료의 적용 유무 및 호흡주기에 따른 차이를 보고자, 측정된 값과 ITV의 선량을 평균하여 비교하 였다.

    Ⅲ.결 과

    1.영상획득 방식에 따른 체적평가

    실제 표적의 체적은 위 식[1]에 의해 약 12.3 cm3로 산출 되었다. 전산화치료계획시스템을 이용하여 설정한 체적의 경우 고정표적은 11.1 cm3, 유동표적은 9.3 cm3로 나타났 다. 다음으로 4D CT로 획득한 유동표적의 체적은 10.4 cm3 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고정표적이 실제 표적의 체적에 가 장 인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2.체적설정에 따른 선량 평가

    Table 2는 고정표적과 유동표적의 GTV 선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먼저 고정표적은 처방선량 10 Gy에서 10.68±0.45 Gy로 나타났으며, 15 Gy에서는 15.22±0.39 Gy, 20 Gy에 서는 20.54±0.10 Gy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동표적은 처 방선량 10 Gy, 15 Gy, 20 Gy의 순서대로 9.54±0.47 Gy, 13.93±0.41 Gy, 18.31±0.88 Gy로 나타났다. 이 값들의 선 량차이를 보고자 t-검정을 적용한 결과, 모든 그룹에 있어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 0.05 미만으로 통계적 차이 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유동표적의 ITV 선량측정 결과는 처방선량 10 Gy, 15 Gy, 20 Gy에서 각각 10.82±0.29 Gy, 16.88±0.34 Gy, 21.90±1.03 Gy로 나타났다(Table 3). 이후 고정표적의 GTV 선량과 t-검정을 통하여 체적설정에 따른 차이를 평가 하였다. 그 결과, 처방선량 10 Gy에서는 통계적 차이를 보 이지 않았으며, 15 Gy와 20 Gy에서는 유의수준 0.05 미만 으로 나타나 통계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 다(Table 3).

    다음으로 영상획득 방식에 따른 체적의 선량을 비교하기 위해 유동표적의 GTV와 ITV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처방선량에 있어 유의수준 0.05 미만으로 통계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3.호흡동조 방사선치료의 호흡주기에 따른 선량평가

    처방선량 10 Gy의 결과는 호흡주기 40~60%와 30~70% 에서 각각 11.41±0.51 Gy와 11.42±0.27 Gy를 나타내었다. 처방선량 15 Gy는 17.78±0.32 Gy와 17.24±0.48 Gy를 보 였으며, 20 Gy는 23.81±0.32 Gy와 23.91±0.62 Gy를 나 타내었다. Fig.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든 그룹에 있어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더 높은 선량 값을 보였다.

    Ⅳ.고 찰

    본 연구는 임상에서 이용하는 영상 획득 방식에 따른 체 적의 비교와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 시 설정된 체적과 처 방 선량 그리고 호흡동조 방사선치료의 호흡주기에 따른 중 심 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표적의 체적 평가 결과는 고정표적의 경우 11.1 cm3 를 보이며 실제 표적체적(12.3 cm3)의 약 90%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결과는 2 mm의 두께로 영상을 획득할 경우 발생 할 수 있는 오차 범위 안에 포함되므로, 더 세밀하게 영상을 획득한다면 실제 체적에 근접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유동표적을 3D CT로 획득한 결과는 실제 체적의 약 75%를 보였으며, 4D CT는 약 84%로 나타나며 더 우수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런 경향성은 Fengxing 등의 선행연구에서도 유동표적의 영상 획득 시 4D CT보다 3D CT에서 더 큰 차이 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14). 같은 맥락으로 미국의학물리학 회에서는 호흡에 의해 움직이는 표적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언급하였으며 표적의 정확한 영상 획득을 위한 방법으로 4D CT를 제시하였다8). 결론적으로 움직이는 종양의 경우 4D CT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체적을 더 명확하게 정의함으 로써 치료 효과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체적에 따른 선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유동표적 을 3D CT로 획득한 GTV의 경우 처방선량의 90% 전·후의 선량을 보이며 모든 그룹에서 유의수준 0.05 미만으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able 2).

    4D CT를 이용하여 획득한 ITV의 경우 처방선량 10 Gy에 서는 10.82 Gy로 고정표적 선량의 101.31%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라정은 등과 전호상 등의 연구에서 보고한 유리 선량계의 특성에 의한 오차범위 1.5%~3.46%에 포함되어 큰 차이로 보기는 힘들 것으로 사료되며, 통계적으로도 유 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15,16). 나머지 두 그 룹에 있어서는 고정표적 선량보다 더 높은 선량을 나타내었 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수준 0.05 미만으로 차이를 나타내 었다(Table 3).

    영상획득 방식에 따른 체적설정의 선량을 비교한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 < 0.05), 4D CT로 영상을 획득하여 ITV를 설정한 경우가 선량이 높 게 평가되었다. 결국 호흡에 영향을 받는 종양을 치료할 경 우, 4D CT로 영상을 획득하여 ITV를 설정하는 것이 치료중 심에 선속을 더 집중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호흡동조 방사선치료에 따른 선량평가 결과 는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적용하지 않고 ITV를 설정하는 경우에 비해서 중심선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Fig. 6). 이는 장성순 등의 선행연구와 같은 경향성을 보인 것으로, 움직 이는 종양의 치료 시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적용하는 것이 치료 효과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9). 그리고 호흡주기에 따른 선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 럼으로 같은 조건이라면 상대적으로 넓은 범주의 30~70% 호흡주기를 적용하는 것이 치료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환 자의 재현성 유지에 이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궁극적인 방사선치료의 목적은 암조직과 정상조직과의 방사선 효과비를 상승시켜 암을 사멸시키는 것이다17). 이러 한 방사선 효과비는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고 려 사항이며, 특히 한 번에 대선량을 조사하는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표적 에 들어가는 선량을 증대하는 방법처럼, 정상조직에 들어가 는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합한 체적의 설정방법 및 치 료기법의 선택은 필수적일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동표적의 영상을 획득하여 체적 을 설정 시, 3D CT보다 4D CT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량에 있어서도 3D CT로 획득한 GTV보다 4D CT로 획득한 ITV의 선량이, 그리고 호흡동조 방사선치 료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점으로 본 연구는 자체 제작한 펜텀의 움직임이 전후방향의 단 방향과 운동주기 3 sec, 진폭 2 cm의 제한된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 하지만 실제 환자의 경우 호흡에 의한 움직임이 동 일하지 않으며, 호흡 주기, 진폭 및 방향이 다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추후 이런 가변적인 조건에 대한 실험과 함께 표 적 주위 정상조직의 피폭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Ⅴ.결 론

    유동표적을 대상으로 영상획득 방식에 따른 표적체적을 비교한 결과 3D CT보다 4D CT로 영상을 획득하여 체적을 설정하는 것이 더 정확하였다. 그리고 표적체적 정의에 따 른 중심선량은 GTV보다 ITV가 더 높게 평가되었으며, 호흡 동조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 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폐암의 정위적 체부 방 사선치료 시 4D CT를 이용하여 체적을 획득한 후, ITV를 설정하여 호흡동조 방사선치료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종양 에 선량을 집속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Figure

    JRST-39-391_F1.gif

    The actual object and mimetic diagram of phantom

    JRST-39-391_F2.gif

    Experiment procedure of comparison the target volume

    JRST-39-391_F3.gif

    Volume of the target

    (a) stop target GTV (b) moving target GTV (c) moving target ITV

    JRST-39-391_F4.gif

    Experiment procedure of evaluation the target dose

    JRST-39-391_F5.gif

    Established respiratory range during RGRT

    JRST-39-391_F6.gif

    Results of mean dose which ITV, respiratory range 40~60% and r espiratory range 30~70%

    Table

    Photoluminescence glass dosimeter specification

    Comparison between stop target GTV and moving target GTV ( unit : Gy )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p < .001,
    **p < .01,
    *p < .05

    Comparison between stop target GTV and moving target ITV ( unit : Gy )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p < .001,
    **p < .01,
    *p < .05

    Comparison between moving target GTV and moving target ITV ( unit : Gy )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p < .001,
    **p < .01,
    *p < .05

    Reference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4) (www.cancer.go.kr),
    2. Jae-Seung Lee , Jung-Nam Kim (2008) Efficient Data Acquisition Technique for Clinical Application of Multileaf Collimator , Jou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8 (11) ; pp.182-188
    3. Nagata Y , Takayama K , Matsuo Y (2005) Clinical outcomes of a phase I/II study of 48 Gy of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in 4 fractions for primary lung cancer using a stereotactic body frame ,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Vol.1;63 (5) ; pp.1427-1431
    4. Jan Nymana , Karl-Axel Johanssonb , Ulla HultHna (2005) Stereotactic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Mature results for medically inoperable patients , Lung Cancer, Vol.51 ; pp.97-103
    5. Kestin L , Grills I , Guckenberger M (2014) Dose-response relationship with clinical outcome for lung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 delivered via online image guidance , Radiotherapy and Oncology, Vol.110 (3) ; pp.499-504
    6. ICRU (1993) Prescribing, recording and reporting photon beam therapy Report 50, Bethesda,
    7. ICRU (1999) Prescribing, recording and reporting photon beam therapy(supplement to ICRU report 50): report 62, Bethesda,
    8. Keall PJ , Mageras GS , Balter JM (2006) The management of respiratory motion in radiation oncology report of AAPM Task Group 76 , The International Jounal of Medical Physics and Practice, Vol.33 (10) ; pp.3874-3900
    9. Seong Soon Jang , Gil Ja Huh , Suk Young Park , Po Song Yang , Eun Youn Cho (2014) The impact of respiratory gating on lung dosimetry in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for lung cancer , European Jounal of Medical physics, Vol.30 ; pp.682-689
    10. Stephen B Edge (2009) Ajcc Cancer Staging Manual (Paperback), Springer Verlag,
    11. Langen KM , Jones DT (2001) Organ motion and its management , International Jou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Vol.1;50 (1) ; pp.265-78
    12. Jun Young Na , Tae Young Kang , Geum Mun Baek , Gyeong Tae Kwon (2013) Consideration of the Accuracy by Variation of Respiration in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Respiratory Gating System , Jou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py , Vol.25 (1) ; pp.49-55
    13. Robert D Timmerman , Rebecca P , Harvey I Pass (2013) RTOG 0618: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to treat operable early-stage lung cancer patients ,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Vol.31 ; pp.S7523
    14. Li F , Li J , Zhang Y (2013) Geometrical differences in gross target volumes between 3DCT and 4DCT imaging in radiotherapy for non-small-cell lung cancer , Jounal of Radiation Research, Vol.54 (5) ; pp.950-956
    15. Jeong-Eun Rah , Dong-Oh Shin , Ju-Young Hong (2006) Study on Dosimetric Properties of Radiophotoluminescent Glass Rod Detector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Vol.31 (4) ; pp.181-186
    16. Hosang Jeon , Jiho Nam , Dahl Park (2013) Reading Deviations of Glass Rod Dosimeters Using Different Pre-processing Methods for Radiotherapeutic in-vivo Dosimetry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Vol.24 (2) ; pp.92-98
    17. Se Sik Kang , In Ho Go , Ga Joong Kim (2014) Radiation Therapeutics, munhwa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