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3509(Print)
ISSN : 2384-1168(Onlin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8 No.3 pp.287-294
DOI : https://doi.org/10.17946/JRST.2015.38.3.13

Study on the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Basic Vocational Competency Skills

Hyon-Chol Jang, Haeng-Ki Lee, Pyong-Kon Cho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Suseong College
1)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교신저자: 조평곤 (712-702), 경북 경산시 하양읍 금락1리 330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Tel: 053-850-2523 / quizkid88@hanmail.net
August 1, 2015 August 7, 2015 September 1, 2015

Abstract

As employment changes quickly in structure, enterprises put more and more stress on basic vocational competency skills.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skills of S College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and present the basic data. The gathered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d Oneway ANOV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mostly had average or higher levels in the seven areas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y skills. Reading and writing skills among communication skills were the lowest, followed by the skills of understanding global culture and using foreign languages among organization understanding skills, and then by numeracy skills. On the contrar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ere the highest in level. This indicates that the students will establish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hospital patients and members.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and writing skills among communication skills, numeracy skills, and the skills of understanding global culture and using foreign languages among organization understanding skills. This study measured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skills of S College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which might somewhat restrict the application of its results to the students of all universitie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improve the skills of communication, numeracy, organization understanding, self-management skills, etc.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using various programs customized to school years and student levels and performing education properly connected to industrial establishments to foster the workforce with excellent basic vocational competency skills.


방사선과 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 수준에 대한 연구

장 현철, 이 행기, 조 평곤
수성대학교 방사선과
1)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직업구조가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기초직업능력의 중요성을 더욱더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는 S대학교 재학생의 기초직업능력 수준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및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초직업능력 일곱 개 영역에 있어 전반적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의사소통능력 중 읽기와 쓰기 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조직이해능력 중 글로벌 문화를 이 해하며 외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수리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인관계능력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 타났다. 이는 앞으로 병원 근무에 있어서 환자 및 구성원들과 대인관계를 잘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의사소통능력 중 읽기와 쓰기 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중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며 외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학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는 S대학교 방사선과 재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직업능력 수준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 대학교 재학생 및 모든 학과에 대해 일 반화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자기관리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수한 직업기 초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과의 특성과 학생들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학년별 및 학생 수준별로 진행 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및 산업체와 잘 연계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서 론

    최근 급변화는 정보화의 환경에 있어서 모든 분야가 더욱 더 전문화가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속에서 빠르게 적 응하며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직업능력이 더욱 강조 되고 있으며, 전문적인 지식 및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1-2).

    기초직업능력은 지식을 기반하는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능력이며, 평생학습 및 직업교육에 있어서 핵심적으로 필요 로 하고 있다3).

    기초직업능력의 개념은 대상, 목적, 연구자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개념은 거의 비슷하 다. 선행연구에서 발표된 기초직업능력의 개념은 모든 직종 에 있어서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로하는 기술, 지식 및 태도를 의미한다. 기초직업능력의 전문대학생 모형 에서는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원활용능력, 수리능 력, 조직이해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4-5).

    최근 기업들은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전문적인 지식 뿐만 아니라, 현장 직무 시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초직업능 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요즘 대학생들은 졸업장만으로는 취업하기가 힘들어졌으며, 전공과 관련된 자격증 및 기업에 서 요구하는 취업 조건들을 갖추어야 하는 실정이다6).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기초직업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학과 전공에 대한 충분한 지식 제공 및 학생들의 관심분야 를 파악하여 적극적인 대처 및 지도가 필요할 것이며7), 대 학생 본인 또한 기업에서 요구하는 기초직업능력 개발을 위 해서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대학에서는 대학생들의 기초직업능력 개발을 높이기 위 해 다양한 자격증 취득과정, 취업특강 등의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다8). 또한, 각 학과에서는 학과 특성상 학생들 의 전공과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방사선(학)과의 분야는 의료기술의 발전과 변화에 있어서 더욱더 진단 및 치료분야의 역할과 업무 범위가 확대될 것 이며,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은 병원 및 기업이 요구하는 전문 인으로 되기 위해 전문적인 지식 및 자격증과 면허 취득을 위해서 더욱더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과 재학생들의 기본적 인 기초직업능력 수준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II.대상 및 방법

    1.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5년 5월 26일부터 6월 12일까지 S 대학 방 사선과 재학생 총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 업기초능력 수준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 중 9명의 설문 내용 누락자를 제외한 126명을 대상으 로 분석하였다.

    2.연구 도구

    본 연구에 활용된 설문지는 전문대학교 학생용 기초직업 능력 도구를 (Core Cpmpetency Questions Using BARS, CCQB)9-10) 활용하여 현재 수준을 분석하였다.

    자기기입식인 설문조사로 방사선과 학생에게 설문조사의 의도와 방법을 설명한 후, 배포하고 회수하는 방법을 이용 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학생의 일반현황 3문항, 문제해결능력 2 문항, 의사소통능력 2문항, 자원활용능력 2문항, 수리능력 1문항, 조직이해능력 2문항, 대인관계능력 4문항, 자기관리 능력 2문항으로 총 18문항으로 작성 되었다. 각 문항은 리 커트 5점 척도(매우그렇다 5점,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를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Table 1).

    3.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 설문도구의 내적일치도를 알 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하여 Cronbach alpha 값을 구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현황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 였고, 기초직업능력의 수준 실태 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일반현황 특성과 기초직업능력의 수준의 유의차 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 및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 정(Duncan’s)을 실시하였다.

    III.결 과

    1.설문도구의 신뢰도 분석

    설문도구의 내적일치도를 조사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하여 Cronbach alpha 값을 구하였다. 일반적으로 Cronbach alpha 값 0.6 이상을 신뢰성이 있다고 할 수가 있다. 본 연 구의 설문도구의 Cronbach alpha 값은 0.887로 나와 설문 도구의 내적일치도는 매우 양호하였다.

    2.연구 대상자의 일반현황 분석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20 ~ 37세로 평균 22.7세 였다. 성별은 남성 78명(61.9%), 여성 48명(38.1%)으로 남성의 비율 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은 1학년 42명(33.3%), 2학년 42명 (33.3%), 3학년 42명(33.3%)로 동등하게 나타났다(Table 2).

    3.기초직업능력 수준 분석

    기초직업능력 수준의 실태 분석은 기술통계 분석을 활용 하여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Table 3).

    학생들은 7개의 영역 중 의사소통능력에 해당되는B1 문 항(책이나 신문 등을 읽고 난 뒤에 내용을 글로 정리한다.) 2.73점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기초직업능력 영역 중 대인관계능력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기에 업무 수행 시 구성원들과 원만하게 잘 지낼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 중 B1 문항에 해당되는 읽기와 쓰기 능력 수준이 2.73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조직이해능력 중 E2 문 항(외국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한자나 외국어 공부를 하 며 해외 인턴쉽 등에 관심을 가진다.)에 해당되는 국제문화 이해능력 수준이 3.20점으로 그 다음 낮은 점수를 나타냈 다. 수리능력 또한 3.23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4.성별에 따른 기초직업능력 수준 분석

    성별에 따른 기초직업능력 수준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을 하였다(Table 4).

    7개의 기초직업능력 영역 중 남성은 대인관계능력 영역 에서 F1(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배려한다.) 문항 이 3.9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대인관계능력 영역에서 F3(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들어준다.) 문항이 3.8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 과로 볼 때 남성은 여성보다 일에 대해 책임을 지며, 리더쉽 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에게 봉사할 수 있는 능력이 좀 더 높 다고 판단되어 진다. 여성은 남성보다 다른 사람과 팀을 이 루어 협조적으로 일을 하여 성과를 낼 수 있는 능력이 좀 더 높다고 판단되어 진다.

    성별에 따른 기초직업능력 수준 차이는 의사소통능력 영 역에서 B1(책이나 신문 등을 읽고 난 뒤에 내용을 글로 정리 한다.) 문항이 남성 2.53점, 여성 3.0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읽기 와 쓰기 능력이 좀 더 높다고 판단되어 진다. 또한, 자기관 리능력 영역에서 G2(자신의 능력과 장단점을 정확하게 파 악하려고 노력한다.) 문항이 남성 3.76점, 여성 3.4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

    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자기관리능력이 좀 더 높다고 판단 되어 진다.

    5.학년에 따른 기초직업능력 수준 분석

    학년에 따른 기초직업능력 수준 차이를 일원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을 하였다(Table 5).

    의사소통능력에 해당되는 B1(책이나 신문 등을 읽고 난 뒤에 내용을 글고 정리한다.) 문항에 대한 기초직업능력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 3학년 3.05점, 2학년 2.60점, 1학년 2.55점 순으로 나타났다. Duncan’s 사후 검정 결과 학년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3학년(3.05점)과 1학년 (2.55점)사이에 유의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수리능력에 해당되는 D1(신문이나 책에 나온 그래프나 도표를 보고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료의 특징을 파악하려고 노력한다.) 문항에 대한 기초직업능력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학년 3.45점, 2학년 3.36 점, 1학년 2.88점 순으로 나타났다. Duncan’s 사후검정 결 과 학년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3학년(3.45점)과 1학년(2.88 점)사이에 유의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조직이해능력에 해당되는 E2(외국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 고 한자나 외국어 공부를 하며 해외 인턴쉽 등에 관심을 가 진다.) 문항에 대한 기초직업능력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1). 3학년 3.52점, 2학년 3.19점, 1 학년 2.88점 순으로 나타났다. Duncan’s 사후검정 결과 학 년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3학년(3.52점)과 1학년(2.88점)사 이에 유의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6.조직이해능력과 자기관리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조직이해능력 수준과 자기관리능력 수준은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Table 6).

    조직이해능력 영역에서 조직이해 세부요소에 해당되는 문항 E1(자신의 장래를 위해 사회변화 상황을 알아보고 관 심분야의 동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의 수준이 높을수 록 자기개발능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이해능력 영역에서 국제문화이해 요소에 해당되는 문항 E2 (외국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한자나 외국어 공부를 하며 해외 인턴쉽 등에 관심을 가진다.)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 개발능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V.고찰 및 결론

    최근 직업구조가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다 양한 분야에 빠르게 적응하며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인재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 대학의 교육은 학생들 이 보다 더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초직업능력 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목표가 되고 있다.

    기업에서는 현장실습,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 인관계능력, 창의성 등을 더욱더 요구하고 있다11).

    기초직업능력의 중요성이 더욱더 강조되면서 대학들은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을 접목시켜 운영하고 있는 실정 이며, 취업 후 산업 현장의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이 루어지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직업능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더 생각하여 S대학교 재학생의 기초직업능력 수준을 파 악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S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기초직업능력 수준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 대학교 재학생 및 모든 학과에 대해 일반화하는데 다소 한 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보다 많은 대학교 및 다양 한 학과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기초직업능력의 개념은 모든 직종에 있어서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로하는 기술, 지식 및 태도를 의미 한다. 전문대학교 모형의 기초직업능력 영역으로는 문제해 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원활용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 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총 7개의 영역으로 구분 되어 진다4-5,13-14).

    문제해결능력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문제의 상황을 인식하고 논리적으로 접근하여 창의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 를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세부요소로는 분석적 사고, 평 가적 사고, 창의적 사고로 구분된다14). 본 연구에서는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평가되어, 문제 발생 시 상황의 원인을 파 악하고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과 특성상 환자 검사 시 다양한 상황과 많은 문제 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올바르게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 인 지식과 경험들이 풍부해야 될 것이다.

    의사소통능력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글이나 말로써 타인의 의사를 이해하고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능 력을 말한다. 세부요소로는 말하기와 듣기, 읽기와 쓰기, 비 언어적 의사소통으로 구분된다14). 본 연구의 재학생들은 B1 문항에 해당되는 읽기와 쓰기 능력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 났다.

    방사선 분야에서는 검사 의뢰서 및 환자 진료 기록부를 읽고 이해하여야 하며, 직장 동료와의 소통에 있어서 자신 의 의사를 잘 표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의사소통능 력의 수준을 보다 더 향상 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원활용능력은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 정보기 술을 수집 및 획득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세부요소 로는 자원활용, 정보기술 활용으로 구분된다14). 본 연구에 서는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평가되어, 일에 있어서 컴퓨터 나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수리능력은 사칙을 포함한 기초연산과 통계, 도표 등 정 량적인 자료를 이해하고 해석하여 적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세부요소로는 기초연산 활용, 수치 및 도표해석으로 구분된 다14). 본 연구의 재학생들은 수리능력 수준이 다소 낮게 나 타났다.

    기본적인 차트 및 도표를 분석하여 정보를 이해할 수 있 는 수준이기에 좀 더 전문적인 통계자료를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조직이해능력은 조직의 체계와 환경을 이해하고, 다양한 국제적인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세부요 소로는 조직이해, 글로벌 문화 이해로 구분된다14). 본 연구 에서는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평가 되었으나, 글로벌 문화 를 이해하며 외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다소 낮게 나 타났다.

    방사선과 업무에 있어서 의학용어 등의 전문적인 용어 사 용과 외국인 환자 응대에 있어서 외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인관계능력은 조직 내.외의 다양한 사람들과 원만한 인 간관계를 맺고 협동하여 업무를 추진하는 능력을 말한다. 세 부요소로는 리더쉽, 팀워크, 갈등관리 등으로 구분된다14).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능력 수준이 7개의 영역 중 가장 높 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병원 근무에 있어서 환 자 및 구성원들과 대인관계를 잘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자기관리능력은 자기관리를 바탕으로 주도적으로 학습하 고 진로를 개발하며, 일에 대한 건전한 직업의식 및 태도와 관련된 능력을 말한다. 세부요소로는 진로설계 및 실천, 자 기조절 및 관리 등으로 구분된다14). 본 연구에서는 보통 이 상의 수준으로 평가되어, 자신의 진로분야에 서 요구하는 능력과 자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이며, 일에 있어서는 외부적인 상황에 적극적으로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의 방사선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 집한 자료를 근거로 평가한 연구이다. 기초직업능력을 육성 함에 있어서 방사선과 분야의 기초직업능력을 활용한 교육 과정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 대해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교육과정 개발 시 학생들 의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자기관리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말하기와 생각하기, 읽기와 쓰기, 생활수학 및 교양수학, 생활영어, 기업조직과 이해, 직업과 자기개발 등의 교양 및 전공의 교육과정을 잘 연계하여 지 도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수한 직업기초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 해 학과의 특성과 학생들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학년별 및 학생 수준별로 진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및 산 업체와 잘 연계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Table

    The questionnaire analysis contents

    Characteristics of General Status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level actual condition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level accor ding to the Gender

    *p<0.05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level accor ding to the Grade

    *p<0.0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understanding skills and Self-management skills

    **p<0.01

    Reference

    1. Na SI , Jyung CY , Kim JS (2008) Institutionalization of Basic competencies Standdards , J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0 (2) ; pp.161-188
    2. Na SI , Cho JY , Uh SB (2012) The Strategies for the New Installation of National Certificate on the Basic Competencies , J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44. No. 1, Vol.44 (1) ; pp.131-160
    3. Field J , Schuller T (2000) Explaining patterns of lifelong learning in Scotland and Northern Ireland, Differing visions of a learning society , The Policy Press,
    4. Jung CY , Seo WS , Lee KS (2001) Status and Directions for the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Vocational Key Competencies , J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33 (2) ; pp.1-22
    5. Jin MS , Lee SY , Chae CK (2007)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ollege Students' Basic Ability for Occupations and Development of Questions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6. Cho MJ (2010)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on Job-Seeking Anxiety and Stress , J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Job and Employment Service, Vol.5 (2) ; pp.47-60
    7. Shin HJ , Huh S (1997) A Study on Career Planning of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case of Three Universities in Chungnam Province , J Social Welfare Major College of Social Sciences Soonchunhyang University, Vol.6; pp.47-69
    8. Oh BO (2010) The factors affecting selection of the Educational Capacity Enhancement Project(ECEP) of universities , J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Vol.19 (4) ; pp.153-176
    9. Park DY (2006)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Core Competency Style Test for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 J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38 (2) ; pp.225-245
    10. Park DY , Hwang YA (2009) Development of the Test Based on BARS to Measure Core Competency Level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J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1 (2) ; pp.29-48
    11. Park SY , Song YS (2008) The study for global business Competency model to develop the talent in the large enterprises in Korea ,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10 (3) ; pp.65-85
    12. Kim SN , Kwon YS , Shin JS (2012) A Study for Promoting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 J Korea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Vol.19 (2) ; pp.57-77
    13. Kim ST (2009)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Key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 J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21 (2) ; pp.599-628
    14. Ju YJ , Park DY , Jin MS (2010) A Study on the Areas of Basic Ability for Occupations and Achievement Standards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